![](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5/29/20180529154626219996.jpg)
[사진=바이두]
P2P(개인간) 협회가 이원화된다. 신용 및 개인대출 위주의 P2P업체들이 한국P2P금융협회에서 탈퇴해 새로운 협회 구성에 나섰다. 기존에 있던 P2P금융협회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업체 위주로 재편될 가능성이 커졌다.
렌딧·팝펀딩·8퍼센트 등 3개 업체는 새로운 협회를 위한 준비위원회를 발족한다고 29일 밝혔다.
준비위원장을 맡은 김성준 렌딧 대표는 "업권의 주요 회사들이 뜻을 모은 만큼 업계 전반에 자율규제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동참하도록 이끌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현재 3개사만 준비위에 속해있지만 참여 의사를 밝힌 회사들이 있어 향후 규모가 커질 전망이다.
이들 3개 업체는 원래 P2P금융협회 소속이었다. 하지만 초대 회장의 학력위조와 부동산대출 중심의 P2P업체들의 연체율 공시 문제 등 끊임 없는 악재로 인해 최근 탈퇴했다.
이로써 P2P금융협회에는 사실상 PF업체들만 남게 됐다. 2대 P2P금융협회장이던 팝펀딩의 신현욱 대표는 지난주 협회장직에서 자진 사퇴할 뜻을 밝혔다.
P2P금융이 2조원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했지만 대출자·투자자 등 소비자 보호에 대한 우려의 시각이 점차 커지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P2P금융이 자리 잡은 미국·영국은 개인신용과 소상공인 대출 등 소규모 중금리 대출을 중심으로 산업이 형성됐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부동산과 PF 대출에 70% 이상이 쏠려 있다.
준비위는 업계 자정을 위해 자율적으로 규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P2P금융 회사 도산 시 기존에 취급한 대출 채권이 절연될 수 있도록 신탁화 ▲PF대출을 포함한 위험자산 대출 취급 규제 ▲투자자 예치금과 대출자 상환금을 회사 운영 자금과 절연 ▲회원 자격 유지를 위한 외부 감사 기준 강화 등이다.
김성준 준비위원장은 "자산의 위험도별로 차등화된 규제를 받는 것과 마찬가지로 P2P금융 역시 자산별로 차등화된 위험관리가 필요하다"라며 "이런 변화를 통해 기술 기반 P2P금융이 가계부채를 질적으로 개선하고 중소상공인에게 자금 활로를 제공하는 한 축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