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 정부와 기업들의 노력으로 중국 농촌지역의 경제가 크게 활성화하면서, 전자상거래가 지역발전과 빈곤해소를 위한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중국의 전자상거래 싱크탱크인 전자상거래연구센터는 지난달 29일 ‘2017년도 중국 농촌 전자상거래 발전 보고(이하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기준 농촌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쇼핑몰 수는 985만6000개로 매출액은 1조2448억 위안(약 208조원)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쇼핑몰 수는 전년 대비 20.7% 증가했고 매출액은 무려 39.1% 증가했다. 농촌 지역경제 활성화로 새로 창출된 일자리는 2800만개를 웃돌았다.
분야별로는 온라인 여행 관련 매출이 전년 대비 66.8% 늘어난 1831억9000만 위안을 기록했고 배달주문 및 식당예약, 생활서비스 등 서비스 관련 매출은 46.6% 증가한 4622억2000만 위안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동부 농촌지역 판매액이 7904억5000만 위안으로 중국 전역의 63.5%를 차지해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였다. 최근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변방지역의 성장 가능성에도 기대를 걸고 있다. 상대적으로 성장세가 더딘 중국의 서부, 중부지역에도 속속 진출하고 있다.
보고서는 “중국 인구의 절반이 살고 있는 농촌 지역의 소득 향상에 힘입어 전자상거래의 보급 또한 탄력을 받고 있다”면서 “전자상거래가 중국 농촌지역 빈곤해소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급부상했다”고 소개했다.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성장률은 지난해 26%에 그쳐 둔화세를 보이는 듯했으나 농촌시장 개척, 드론 등 신기술을 통한 배달 확대를 비롯한 노력으로 반전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농촌 경제 부흥에 대한 중국 정부의 기대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중국 국무원은 2015년 11월 ‘농촌 전자상거래 발전 촉진을 위한 지도의견’을 발표하고 전자상거래의 농촌 진출 시범 사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덕분에 전자상거래 불모지였던 농촌 지역이 새로운 소비 시장으로 급격히 성장했다.
중국 당국의 적극적인 조치에 이어 내로라하는 전자상거래 업체들 또한 앞다퉈 농촌에 진출하고 있다. 중국 정보기술(IT) 공룡 알리바바(阿里巴巴)는 지난 2014년 10월 100억 위안(약 1조6700억원) 규모의 '천현만촌(千縣萬村)' 프로젝트를 발표, 현(縣)단위의 전자상거래 센터 1000개와 농촌 서비스센터 10만개를 설립하겠다고 선언했다.
징둥(京東), 러스(樂視), 수닝(蘇寧) 등 IT 기업과 농업 전문기업 다베이눙(大北農)도 ‘인터넷+농촌’ 분야에 뛰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인터넷+농촌’이란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농업과 결부해 농촌지역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을 말한다.
전자상거래 활성화는 농촌 지역경제 발전뿐 아니라 중국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빈곤해소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 전자상거래 대표기업인 알리바바, 징둥과 일부 유니콘 기업들이 ‘빈곤해소 정조준(精准扶贫)’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윈(馬雲) 알리바바 그룹 회장은 지난달 중국 구이저우(贵州)성에서 열린 ‘2018 국제 빅데이터 산업엑스포’에서 “빈곤구제의 핵심은 단순히 물질적인 도움이 아니라, 빈곤에 처한 사람들의 환경을 개선해 주는 것”이라며 알리바바가 야심차게 추진하는 빈곤구제 사업의 철학을 밝히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