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6/10/20180610135957838547.jpg)
[사진=아이클릭아트]
6월 9일은 구강보건의 날이다. 첫 영구치인 어금니가 나오는 만 6세의 ‘6’과 어금니를 뜻하는 ‘구치(臼齒)’의 ‘구’를 숫자로 형상화한 ‘9’를 의미한다. 정부는 이날을 기점으로 매해 새로운 슬로건을 발표하며, 구강건강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다양한 온·오프라인 캠페인을 연다.
일상생활에서는 구강 건강을 위해 치약·구중청량제가 많이 사용된다. 치약은 이를 희게 유지하고 튼튼하게 하며, 입안 청결과 치아·잇몸·구강 내 질환 예방을 위해 사용하는 제품이다.
다만 유효성분에 따라 제품별 효능·효과가 다를 수 있으므로 개인 치아 상태와 제품에 기재돼있는 유효성분을 확인해 자신에게 맞는 치약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충치가 잘 발생하는 사람은 충치 발생을 억제하는 불소 성분이 1000ppm 이상 함유된 치약이 권장된다. 불소 함량은 제품에 표시된 사용상의 주의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치은염(잇몸에 국한된 염증)이나 치주염(잇몸과 잇몸 주위 조직까지 염증 파급)과 같은 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염화나트륨, 초산토코페롤, 염산피리독신, 알란토인류 등이 함유된 치약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치태 또는 치석이 침착된 치아는 치태 등의 제거 효과가 있는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인산수소칼슘 등을 함유한 치약이나 치석 침착을 예방할 수 있는 피로인산나트륨이 함유된 치약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성분에 따른 선택뿐만 아니라 사용 시에도 주의가 요구된다. 칫솔질 전 치약에 물을 묻히는 경우가 적잖지만,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또 사용 후에는 입안을 충분히 헹궈내야 한다.
치약을 많이 짠다고 하더라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칫솔모 길이 절반이나 1/3 크기로 짜는 것이 적당하다. 만 6세 이하 어린이는 완두콩 크기가 적당량이다. 다만 만 2세 이하 어린이는 치약을 삼킬 수 있으므로 보호자가 ‘구강청결용 물휴지’를 사용해 치아·잇몸 등을 닦아주는 것이 좋다.
구중청량제(양치제)는 가글액·구강청결제로도 불리며, 칫솔질 없이 간편하게 입안을 헹궈 입 냄새 제거와 구강세척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제품이다.
성인과 만 6세 이상 어린이는 1일 1~2회 10~15mL를 입안에 머금고 30초 정도 양치(가글) 후 뱉어내야 한다. 입안에 소량 남은 것은 필요에 따라 물로 헹궈내도 좋다.
특히 사용 후 약 30분 동안은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아야 한다. 만 2세 이하 어린이는 구중청량제를 삼킬 수 있으므로 사용해선 안된다.
구중청량제 제품 중 일부는 에탄올을 함유하고 있다. 때문에 해당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 직후 음주측정 시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구강건조증이 있는 사람이나 입안이 쉽게 건조해질 수 있는 노약자는 에탄올이 없는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사용 중 입안에 발진·작열감 등 과민반응이 나타나거나 고열·두통·구역이 나는 경우에는 의사·치과의사·약사 등과 상의해야 한다.
식약처는 “치약, 구중청량제 제품을 구입할 때는 반드시 제품의 용기나 포장에 ‘의약외품’이라는 문자를 확인하고, 제품별 사용목적·사용법·주의사항 등에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