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동차 부품기업 자생력 확보 위해 정부 지원 신속하게 이뤄져야"

  • KIAT, '소재부품 밸류업 포럼' 개최

  • "부품협력업체가 강한 산업 생태계 공생구조 확립 필요"

김학도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원장(정면 가운데)이 12일 서울 역삼동 파크루안에서 열린 '소재·부품 밸류UP 포럼'에 참석,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위기에 처한 국내 자동차 부품기업들의 자생력 확보를 위해 정부 지원이 신속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은 12일 서울 역삼동 파크루안에서 국내 자동차 부품 산업의 당면 현안과 해법을 논의하기 위해 '소재·부품 밸류UP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민간 연구기관의 제언을 듣고 업계 애로사항을 수렴해 어려움을 겪는 국내 자동차 부품기업들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장우석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자동차 산업의 지각변동이 혁신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정부와 업계의 각성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장 연구위원은 "고속 성장이 예견되는 스마트카, 그린카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와 인력 양성이 중요하고 완성차 업체와 2․3차 협력업체간 공생하는 혁신지향적 경쟁 환경 조성 및 생산성, 유연성 제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비자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혁신적 서비스 모델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관련 규제 혁신도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포럼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들도 건강한 자동차 부품 산업 생태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며 미래차 시대에 대비할 수 있게 사업 전환과 R&D 여건 개선 등 관련 제도도 마련해줄 것을 요청했다.

김학도 KIAT 원장은 이날 행사에서 "자동차 부품협력업체의 어려움을 경감하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산업부와 KIAT는 ‘자동차부품기업 위기극복 지원사업’에 약 250억원의 추경 예산을 투입한다"며 "이를 통해 자동차 부품협력 업체의 다양한 수요처 발굴, 사업다각화를 통한 중장기 경쟁력 확보 등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