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인상 임박, 불안한 '신흥국'...중국 인민銀 긴축 나설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근정 기자
입력 2018-06-12 16:3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미국 연준 13일 금리인상 할 듯, 일부 신흥국 통화 절하...위기설

  • 유럽 양적완화 중단도 우려 키워, 중국도 긴축? 엇갈리는 의견

  • "공개시장조작 계속해 대응한다"는 데는 이견 없어, 상황 봐야

  • 12일 북·미정상회담, 다양한 변수에 아시아 증시 엇갈려

중국 인민은행. [사진=신화통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기준금리 인상이 임박해 신흥국 시장이 불안감에 싸인 상황에서 중국 인민은행이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한 시장 관심도 커졌다. 중국 내부에서는 자본유출을 막기 위해 긴축 행렬에 동참할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지만 기준금리 인상은 없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전반적으로 국내 상황을 고려해 공개시장조작으로 유동성 조절을 시도할 것이라는 데는 큰 이견이 없는 분위기다. 

미국발 충격은 줄여야 하나 중국 내 시중 유동성 부족으로 기업 채권 디폴트(채무불이행)이 잇따르고 성장률도 둔화되는 상황으로 긴축을 선택하기도 어렵다. 최근까지 인민은행은 '온건·중립' 통화정책 기조를 지속, 유동성을 '합리적' 수준으로 유지할 것이라며 필요시 적절하게 개입하겠다는 의사를 보여왔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12~13일(현지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앞서 올해 최소 3차례 금리 인상을 예고했고 미국 경기 상황이 양호해 금리인상이 확실시 되고 있다. 이번 FOMC 회의에서 금리를 기존의 1.50∼1.75%에서 0.25%p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중국 경제참고보(經濟參考報)는 12일 인민은행이 미국 연준을 따라 금리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기준금리를 인상하거나 적어도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와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등 중·단기 금리 인상으로 유동성 고삐를 조일 것이라는 주장이다. 

밍밍(明明) 중신증권 고정수익 부문 수석 스트레티지스트는 금리 인상 가능성을 점치면서도 긴축의 타격을 최대한 줄이려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민은행이 기준금리 5bp(1bp=0.01%)를 인상하고 대신 MLF 등으로 필요한 곳에 일정량의 유동성을 공급하는 방식을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원빈(溫彬) 민생은행 수석연구원은 "인민은행이 대내외적 상황을 고려해 MLF 등 금리 인상을 선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이와 함께 최근 유동성 부족으로 기업 디폴트가 이어져 올 하반기 오히려 지급준비율(지준율) 인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고개를 든 상태라며 공개시장조작과 관련 금리 인상을 병행해 풀고 조이기를 계속할 확률이 높다고 분석했다.

중국 위안화 환율과 자본 흐름이 크게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자신감과 함께 인민은행이 대규모 긴축 혹은 완화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여전히 건재하다. 

실제로 위안화 환율은 크게 흔들리지 않고 있다. 올 들어 달러 약세에 기대 이상의 절상폭을 보였고 최근에는 절하세를 보였으나 절하폭이 크지는 않았다. 증가세를 지속했던 외환보유액이 두 달 연속 감소해지만 5월 기준 3조1106억 달러로 양호한 수준은 유지했다. 격차가 줄고 있지만 중국의 1년만기 예금금리는 1.5%, 대출금리는 4.35%로 여전히 미국보다 높다.

하지만 기준금리 인상은 없다고 전망하는 쪽에서도 공개시장조작을 통한 유동성 조정은 있을 으로 판단하는 분위기다. 중국증권보(中國證券報)는 전문가 발언을 인용해 "미 연준이 이번주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큰 상황으로 인민은행이 공개시장조작으로 충격에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금리를 인상한다면 MLF 금리를 인상할 확률이 높다"고 밝혔다.
 

[사진=아이클릭아트 제공]


미국이 보호무역의 칼날을 휘두르며 중국 등 세계 시장을 압박하는 동시에 금리까지 계속 인상하면서 신흥국 시장은 불안한 모습이다. 

증권시보(證권券時報)의 12일 보도에 따르면 5월 들어 달러가 강세로 돌아서면서 아르헨티나, 터키, 인도 등 신흥국 통화가치가 급락하고 자본 유출이 심화됐다. 유럽 중앙은행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중단) 가능성까지 더해지며서 불안감이 증폭됐다. 이에 따라 '긴축발작' 가능성과 함께 '6월 위기설'까지 불거졌다. 

아르헨티나, 터키, 인도 등은 이미 금리인상으로 충격 완화를 시도한 상태다. 인도의 경우 2014년 1월 이후 처음으로 기준 금리를 인상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미국에 긴축 속도 조절도 요구했다. 인도와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총재는 최근 미국 당국에 "달러 가뭄으로 신흥시장이 타격을 받고 있다"면서 "긴축 속도를 늦춰 달라"고 호소했다. 

하지만 신흥국 금융시장이 수 차례 불거진 리스크에 단련됐고 건전성도 높아져 과거만큼의 충격은 없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달 말 중국 21세기경제보도는 전문가 발언 등을 인용해 "최근의 상황이 1997년 외환위기 발생 직전과 비슷하기는 하지만 시장환경이 달라 긴축의 타격을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다"며 통제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12일에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세기의 만남'이 싱가포르 센토사 섬에서 이뤄졌다. 구체적 합의는 없었으나 일단 한반도 비핵화의 물꼬를 틔우면서 금융 시장에 대한 영향에도 관심이 집중됐다. 

미국 경제·금융 전문 방송인 CNBC는 금융정보업체의 통계를 바탕으로 지난 2011년 이후 한반도 긴장 완화시 중국 증시(대형주)가 오르고 긴장 고조시에는 유럽 증시 하락폭이 컸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12일 아시아 증시는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다. 여전한 미·중 무역갈등, 미국 금리인상 등 여러가지 변수가 혼재한 영향이다. 한국 코스피는 0.05% 하락한 2468.83으로 대만 가권지수는 0.04% 하락한 11144.79로 거래를 마쳤다. 반면 일본 니케이225지수는 0.33% 오른 22878.35로,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무려 0.89% 급등한 3079.80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