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철 칼럼] 글로벌 경기의 방향을 읽는 두 개의 잣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상철 前 KOTRA 베이징/상하이 관장
입력 2018-06-14 14: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 시장에는 호·악재 상존, 경기 흐름은 힘의 기울기에 따라 향방이 결정 -

[김상철]

[김상철 전 KOTRA 베이징·상하이 관장]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글로벌 경기가 선진국이 주도하기보다는 신흥국이 합세해야만 가능할 정도로 상황이 크게 반전되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와 2010년 유럽발 재정위기 등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중국의 역할이 크게 부상하였고 급기야 세계경제 질서 논의의 중심이 G7에서 G20으로 옮겨오기도 했다.

그러나 ‘세계의 공장’ 중국의 부상은 급기야 글로벌 시장에서의 공급과잉을 초래하였고, 수요의 부족으로 디플레가 고착화되는 소위 ‘뉴 노멀(New Normal)’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돌파구의 마련이 필요하게 되었고, 결국 기술과 시장의 확장 형태로 나타났다. 기술은 ‘4차 산업혁명’, 시장은 ‘포스트 차이나(Post China)'로 보다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세계 경제가 충분히 성장하기 위해서는 선진국과 신흥국과 공조가 필요하며, 기술의 진보와 시장의 확대가 산업과 시장의 경계를 허무는 계기를 만들고 있기도 하다. 최근까지 글로벌 경기의 회복 추세는 기술과 시장이라는 쌍두마차가 효과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평가된다.

문제는 글로벌 경제가 상승 기조를 보이고 있으나, 펀드멘탈 측면에서 냉정하게 따져보면 여전히 불안감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선진국의 경기가 살아나고 있다고 하지만 대부분의 국가들이 정부가 인위적으로 개입하여 경기를 끌어올리는 요소들이 강하게 비쳐지고 있다. 그래서인지 현재의 경기 호조를 그리 낙관적으로 보지 않는 전문가들도 많다. 설상가상으로 ‘트럼피즘(Trumpism)'으로 상징되는 미국발 보호무역이 갈수록 기승을 부리면서 글로벌 경제에 찬물을 끼얹을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마침내 선진국 간의 모임인 G7 정상회담도 미국과 다른 6개국의 갈등 심화로 파행으로 치닫는 최악의 상황을 연출하기도 했다. 트럼프의 지나친 미국 우선주의로 동맹이라는 개념마저 점점 희석되고 있는 판이다. 오죽하면 IMF의 라가르드 총재가 “세계경제의 먹구름이 갈수록 짙어지고 있다”는 경고를 하고 나섰을까.

또 하나 글로벌 경제의 복병은 미국발 금리인상이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올해 금리인상을 당초 두세 차례에서 수정하여 네 차례 할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신흥국들의 걱정이 더 커지고 있다. 미국의 국채금리가 연내 3.2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어 무역에 이어 금리 전쟁이 일촉즉발의 위기로 번지고 있는 모양새다. 이에 동조라도 하듯 유럽 중앙은행(ECB)도 긴축 대열에의 합류를 위해 양적완화 중단을 발표하면서 불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되었다. 금리차로 인한 신흥국의 자본유출 가능성과 공포가 확산되면서 시장에서는‘6월 위기설’마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도 안전지대가 아니지만 아르헨티나·브라질·인도·터키·남아공 등 주요 신흥국 시장에서 비상이 걸리고 있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통화가치의 하락과 인플레이션을 방어하려고 안간힘을 쓰면서 분주해졌다. 보호무역과 금리인상이 선진국과 신흥국에게 공히 아킬레스건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균형적 감각으로 접근, 우리 내부 경기 더 빨리 식을 수 있다는 충고 새겨들어야

이에 따라 글로벌 경기의 후퇴 우려가 다시 수면 위로 올라오고 있다. 시장에는 항상 악재와 호재가 동시에 존재하기 마련이다. 4차 산업혁명이 주도하는 공급 개혁과 새로운 수요 창출이라는 동력은 여전히 강하게 시장을 떠받치고 있다. ‘세계의 공장’, 중국을 대신하여 글로벌 경제의 신흥 성장 센터가 되려고 하는 인도·아세안 등의 용트림도 만만치가 않다. 이러한 호재가 시장에 더 강하게 작용할 것인지, 아니면 보호무역과 금리인상이라는 악재가 시장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인지가 경기의 흐름을 좌우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이 시점에 미국이 주도하는 이 악재들이 언제까지 계속될 것인가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올 11월 중간선거까지는 밀고 나갈 것으로 판단되나, 보호무역과 금리인상이 가지고 있는 패러독스도 놓치지 말아야 한다. 미국의 금리인상이 달러 강세를 불러오며 이는 무역적자를 더 부추기기 마련이다. 이것이 바로 트럼피즘이 갖고 있는 딜레마이기도 하다.

남은 것은 우리 경제가 이에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 것이다. 해외의존도가 높은 경제적 구조를 감안하면 시장에서의 호재와 악재를 어떻게 다스릴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균형 감각을 갖추고 호재는 최대한 활용하고, 악재는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지금 시장에 상존하고 있는 악재가 호재보다 강하게 작용하면 향후 1∼2년 내에 글로벌 경기의 후퇴가 일시에 닥칠 수도 있다. 그러나 상당수의 악재들이 정치적인 술수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본다면 목적이 어느 정도 달성되고 나면 수그러들 수 있는 가변성도 충분하다. 정치적 상황에 따라 강도의 세기가 달라질 수 있음을 충분히 인지해야 한다. 이보다 더 경계해야 할 것은 글로벌 경기보다 우리 내부의 경기가 더 빨리 식을 수 있다는 충고다. 시장에 끌려가기 보다는 판세를 미리 읽고 이를 리드해 갈 수 있는 안목을 가져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