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3기' 서울시의 개발지도가 역세권을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는 모양새다. 수색·DMC역 일대 지구단위계획 변경이 지난 27일 확정돼 서울 서북권의 거점으로 자리할 대규모 복합단지를 짓는 프로젝트가 첫 관문을 넘어섰다. 이를 신호탄으로 용산·서울·광운대역 등 그동안 여러 대외적 걸림돌 등으로 속도를 내지 못했던 일정들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역 주변은 고밀·복합개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현 문재인 정부 및 민선 7기 서울시가 추진할 도시재생과도 맥을 같이한다. 주거·상업 등 다채로운 토지 이용의 효율성 차원에서도 가치가 높다. 특히 강북권 내 구도심을 주요 대상지로 해 박원순 시장이 지난 재임 기간 힘을 쏟고, 올해 '6·13 지방선거' 당시 부동산 공약으로 내걸었던 강남·강북 간 지역균형발전 구상과도 맥락을 같이한다.
용산역세권 개발은 코레일의 철도정비창 땅(44만 2000㎡) 등 일대를 관광과 정보기술(IT)·문화·금융비즈니스 허브로 탈바꿈시키는 것이다. 거점인 용산역은 고속철도(KTX)를 비롯해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B노선(인천 송도~용산~경기도 마석), 지하철 4호선, 2022년 개통 예정인 신분당선 연장선이 모이는 통합역사로 거듭난다. 큰 틀에서는 '용산 광역중심 미래비전 및 실현전략'의 주요 포인트다.
'용산 마스터플랜'은 단군 이래 최대 부동산 개발사업으로 지칭됐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시행사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주식회사(PFV)가 자금난에 빠지면서 사실상 무산됐다. 최근 코레일이 시행사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이기며 철도정비창 부지 소유권을 다시 가져와 실질적인 개발이 가능하게 됐다. 내달께 마스터플랜이 공개될 때 현지 역세권도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서울역 북부역세권도 논의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2008년 처음 검토된 이후 서울시와 코레일이 2014년 '강북 마이스 중심지' 조성을 목표로 총사업비를 1조3000억원으로 확정하기도 했다. 당시 한화컨소시엄이 우선협상자로 선정됐지만 수익성이 낮아 후속절차가 이어지진 못했다. 그렇게 10년 넘게 진척이 없었지만 올 3월 서울시·코레일 두 기관이 다시 테이블에 앉았다. 재설계를 하기 위해서였다.
이곳 부지는 북부 주차장과 철도부지 등을 포함해 총 5만5500㎡ 면적에 이른다. 서울시·코레일 태스크포스(TF)는 과거 밑그림으로 제시됐던 컨벤션센터 주축의 마이스(MICE) 기능은 대폭 축소하고 주거와 관광숙박시설을 늘리고자 한다. 민자사업의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 호텔과 오피스텔, 레지던스를 배치하고 판매·문화시설도 보탠다. 이로써 '서울로7017' 등을 통한 일반인의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관광객 수요에도 대응한다.
광운대역세권은 동북권 최대 개발사업으로 꼽힌다. 부지 14만9065㎡, 사업비는 약 2조5000억원에 달한다. 노원구 월계동 85-7번지 일원 코레일 소유 철도·물류시설 용지와 국공유지를 주거·상업·공공용지 등으로 바꾸고자 한다. 광운대역을 역사와 상업시설이 결합한 복합시설로 선보이는 동시에 낙후된 주변지역의 도시기반시설을 확충한다.
또 당장의 회색빛 이미지를 벗어나 독창적인 도시개발을 통한 동북부 랜드마크가 되고자 한다. 1호선 광운대역, 6호선 석계역 등 역세권 입지를 갖추는 등 교통 접근성이 우수하다. 앞서 박 시장은 "교통과 경제, 문화가 어우러지는 동북권 중심지로 도약하는 전기가 될 것이다. 각종 인허가 과정 등을 조속하게 결정해 실제 추진에 틈이 없도록 하겠다"고 적극적 행정지원을 약속한 바 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이와 관련해 "서울 도심권과 구도심의 역세권 복합개발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면서 강북권 균형개발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된다"며 "도시기능은 고도화하고 공간구조를 효율적으로 바꾸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