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남쪽 변경인 인구 5600만명의 광시좡족자치구.
베트남과 마주한 국경선이 1020㎞, 남중국해와 맞닿은 해안선이 1500㎞에 달하다 보니 역사적으로 갈등과 분쟁이 끊임없이 이어졌다.
중국 내 대표적인 낙후 지역이었지만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은 2조396억 위안(약 340조원)으로 31개 지방정부 가운데 18위를 기록하며 중위권에 진입했다.
쑨다웨이(孫大偉) 자치구 당 부서기는 기자와 만나 "GDP 1조 위안에 도달하는 데 60년이 걸렸는데 그 이후 6년 만에 2조 위안을 넘어섰다"며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8%를 웃돈다"고 강조했다.
쑨 부서기는 "1년 소득이 2000위안(약 33만원) 이하인 극빈층이 267만명 정도 남았다"며 "매년 100만명씩 줄여 공산당 창당 100주년이 되는 2021년에는 탈(脫)빈곤을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광시의 변화는 발상의 전환에서 비롯됐다.
지역 경제·안보에 부담이었던 국경선과 해안선을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과의 경제협력 통로로 적극 활용하기 시작했다. 자치구 주도인 난닝시는 중·아세안 엑스포의 영구 개최지가 됐다.
이웃인 베트남이 '도이머이(쇄신)' 정책으로 경제 발전을 이룬 것도 광시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경 무역과 민간 자본이 투입된 농업 선진화로 빈곤에서 탈출한 광시는 제조업과 정보기술(IT) 분야의 경쟁력 제고에 매진하며 지역 경제의 자생력을 점진적으로 높여 나가고 있다.
광시 경제의 환골탈태는 동북쪽으로 3100㎞가량 떨어진 북·중 접경 지역에서 감지되는 또 다른 변화의 움직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비핵화를 선언하고 대외 개방을 추진 중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최우선 과제 역시 탈빈곤이다. 안정적인 경제 성장은 한국과 중국 등 주변국과의 협력 강화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방중 기간 중 베이징 농업과학원과 IT 성지인 중관춘에 들러 많은 시간을 보낸 김 위원장의 행보는 광시가 추진한 경제 정책의 궤적과 맥이 닿아 있다.
베트남식 개방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진 김 위원장은 광시와 베트남의 상생 모델을 통해 많은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