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적기업으로 인증받은 두리함께 주식회사는 '세상의 모든 여행은 모든 이에게 평등하다'는 슬로건을 내세워 장애인, 노인 등 이동 약자에게 제주도 '무장애 여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진 = 고용노동부]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해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판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국내 사회적기업이 2000여개에 육박했다.
고용노동부는 50개 기관을 사회적기업으로 신규 인증했다고 3일 밝혔다. 이에 따라 사회적기업은 총 1978개로 늘었다.
고용부는 이들 50개 기관에 대해 장애인 등 이동 약자를 위한 제주 여행, 곤충 생태계 복원을 위한 생태관 등 새로운 분야에서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한회사 퐁낭은 제주 올레길을 활용한 여행 프로그램과 수공예품 제작·판매로 지역 내 고령자, 결혼이민자 등에게 일할 기회를 제공한다.
주식회사 숲속의 작은친구들은 곤충과 인간이 공존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곤충생태 전시관을 운영하고 교육 사업을 한다.
주식회사 베네핏은 미디어·출판·영상 등 다양한 매체를 이용해 '누구나 사회문제 해결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운영된다.
임서정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새로운 방식의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모델이 증가하고 있다"며 "지역 및 산업의 특수성을 살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발굴·정착을 위해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등 다양한 사업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사회적기업 인증 신청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는 16개 광역 단위로 설치된 권역별 통합지원기관(대표번호 1800-2012)의 컨설팅을 받을 수 있으며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www.socialenterprise.or.kr)으로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