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정부, ‘안전·환경·교통’ 인프라에 첨단 ICT 기술 입힌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정두리 기자
입력 2018-07-09 14:2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과기정통부, 국가인프라 지능화 선도사업 3개 분야 60억원 투입

  •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지능형 교통체계·CCTV 통합관제 마련 등

정부가 사회 곳곳의 공공 인프라를 강화해 국민의 삶의 질 개선에 나선다. 국가 지능화기술을 활용해 지하 역사의 미세먼지 관리는 물론, 도로의 교통 흐름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지능형 CCTV로 신변 보호도 강화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화진흥원는 9일 서울교통공사에서 국가 인프라(SOC) 지능화 혁신을 위해 ‘2018년 스마트 SOC 선도 프로젝트’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착수보고회에는 과기정통부를 비롯해 서울교통공사, 오산시, 대구시 등 관련기관 관계자, 디에이피, 인텔리빅스 등 사업 참여기업, ‘SOC-ICT 협의회’ 운영위원 등 총 30여명이 참석했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환경·안전·교통 분야에서 총 3개 사업(60억원 규모, 사업당 2년 지원)을 추진한다.
 

[자료=과기정통부]


우선 자연 환기가 어렵고 밀폐된 공간에 다수의 이용객이 밀집하는 지하역사의 공기 질을 개선하는 데 지능화기술이 적용된다.

정부는 서울교통공사와 함께 지하역사에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예측한다. 이를 바탕으로 공기정화장치를 최적 상태로 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 2020년까지 강남역을 중심으로 유형별 4개 역사에 실증을 한 이후, 서울 지하철 1~8호선에 확대 적용해 쾌적한 공기를 시민에게 제공한다는 목표다.
 

[자료=과기정통부]


또한 지능형 CCTV를 활용해 보다 안전한 신변 확보에 나선다.

정부는 오산시와 협력해 지능형 CCTV 영상분석을 활용한 스마트 도시통합관제 솔루션 개발에 돌입했다. 보행자나 차량의 속성 정보 추출을 통해 특이상황을 감지하고, 이상징후가 파악되면 자동 인지‧통보하는 시스템이다.

이로 인해 도시에서 길을 잃고 배회하는 치매환자가 나타나거나, 취객을 상대로 한 소매치기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에 보다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 질 전망이다. 향후 기능 고도화를 위해 오산시 전역 CCTV 약 2000대를 대상으로 시스템을 확산시킬 계획이다.
 

[자료=과기정통부]


교통신호 실시간 최적화로 시민들의 교통정체도 해소한다.

정부와 대구시는 도로의 통행량, 교차로의 대기 차량 수 및 차량 행렬의 길이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분석을 통해 최적의 교통운영 솔루션을 만들 예정이다. 추후 인터페이스(API)를 오픈 제공해 네비게이션과 모바일 지도 등 현재 상용 중인 서비스와 교통정보를 공유하고, 스마트시티 연계 방안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최영해 과기정통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과기정통부는 데이터(Data), 네트워크(Network), 인공지능(AI) 등 DNA 관련 정책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사업은 DNA 기술을 SOC에 시범 적용해 국민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성공 모델을 만드는 데 있다”면서 ”시범사업의 결과물이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