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감도(예시)[사진 = 농식품부 제공]
한손으로 작물의 생육환경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팜이 4차 산업혁명‧혁신성장과 맞물리며 점차 확대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ICT(정보통신기술) 활용에 익숙한 청년들이 스마트팜에 도전하고, 실패해도 재기할 수 있도록 정부는 ‘스마트팜 창업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시설원예 스마트팜 보급면적(누계)은 4010ha로 불과 3년 만에 10배 가량 증가했다. 축산 스마트팜도 23개에서 790개로 34배나 늘었다. 정부가 보급사원 지원을 확대하고, 도입효과가 알려지면서 최근 스마트팜이 급격히 늘어났다.
스마트팜은 ICT를 온실‧축사에 접목, 스마트폰‧PC를 통해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관리하는 농장을 말한다.
스마트폰으로 온‧습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거나, 냉난방‧영양분 공급을 제어하면서 최적의 생장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의미다.
한국농산업조사연구소 연구결과 시설원예에 스마트팜을 적용하면 생산성이 30% 증가하는 반면, 고용노동비는 8.6% 줄일 수 있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팜을 농업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보고, 혁신성장 핵심 선도사업으로 선정했다.
스마트팜 운영시스템 개발이나 컨설팅‧방제서비스 등 청년에게 적합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도 기대되는 분야다.
이에 농식품부는 청년농업인과 전후방 산업이 동반성장하기 위한 청년인력 양성 등 인프라 조성을 중점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청년이 스마트팜에 도전할 수 있도록 교육‧자금‧농지 등의 진입장벽을 낮췄다.
농식품부는 청년 스마트팜 전문교육 과정을 신설, 전문인력을 양성하기로 했다. 스마트팜 특화 전문 보육프로그램을 운영, 청년에게 안정적인 창업과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총 20개월의 ‘입분-교육실습-경영실습’ 과정을 거친다. 농식품부는 2022년까지 청년 스마트팜 전문인력 600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가장 어려움을 호소하는 자금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최대 30억원을 저리로 융자받을 수 있는 ‘청년 스마트팜 종합자금’을 신설했다. 이미 4월에 1호 대출자가 배출됐다. 정부의 매입비축 농지 임대기간도 5년에서 20년까지 대폭 늘려줬다.
특히 청년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125억원 규모의 농식품 벤처펀드를 결성하고, 하반기에는 청년 경영실습형 스마트팜(6000평)을 조성한다.
청년창업과 생태계 조성 마중물 역할을 할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에도 박차를 가한다. 생산‧교육‧연구 기능을 갖춘 산업단지와 비슷하다. 2022년까지 권역별로 4개소를 만들 계획이다. 기술혁신‧판로개척‧청년창업이 집약돼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것이다.
청년들은 혁신밸리내 임대형 스마트팜에 입주하거나, 연관 기업에 취업이 가능하다. 직접 스타트업 창업을 할 수 있다. 스마트팜 산업에 청년이 유입되고, 전문 분야의 양질일자리가 만들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혁신밸리 핵심시설 이외에도 청년과 기업이 정착할 수 있도록 농촌 임대주택을 조성하고, 문화‧복지 서비스 확충 등 농촌개발사업도 연계할 계획이다.
한편 농식품부는 스마트팜 확산 대책을 통해 2022년까지 스마트팜 시설원예는 7000ha, 축사는 5750호로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스마트팜 규모가 확대에 따라 연관산업이 성장해 4300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정부는 인력양성과 기반을 조성하고, 민간은 기술혁신과 시장확대를 도모하면 농업과 연관산업에 재투자되는 선순환 구조가 창출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