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저가 커피 브랜드 전문점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 출혈경쟁이 심화하고 있다. 일부 저가 커피 브랜드들은 가맹점 늘리기에만 급급, 위생과 안전은 뒷전이다 보니 가맹점주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에게까지 피해를 주고 있다.
부산에 본사를 두고 있는 한 업체는 공정거래위원회와 불공정거래로 사실관계를 다투는 일까지 벌어졌다.
부산은 항만 물류 도시이기 때문에 커피 원두를 수입하는 업체들이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창업 열기까지 더해져 가맹점 개설에 몰두하면서 가맹본부들의 횡포도 심해지고 있다.
12일 부산 지역 업계와 원부자재 납품 관계자 등에 따르면 원재료 가격을 부풀리고 가맹점의 실내장식 비용에 폭리를 취하는 일들이 자행되고 있다. 마케팅에만 집중하다 보니 가맹점에 대한 관리 소홀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전국에 200여개의 가맹점을 두고 있는 B사(부산)는 가맹점 늘리기에 급급, 무분별한 가맹영업을 해 왔다. 상시 할인을 하면서 점주 간 가맹 개설의 형평성 문제도 일으켰다. 유통 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원료로 신제품을 개발, 가맹점주에게 해당 제품 판매를 강요하기도 했다. 물류 기반도 허술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부산 중구 지역을 중심으로 가맹사업을 하는 P사는 원두 로스팅 시설이 미비한 가운데, 유통기한이 임박한 물품이나 저품질의 종이컵과 플라스틱컵을 납품했다. 그 때문에 위생 문제가 대두하고 있다.
C사는 가맹점 개설 시 거리제한을 두지 않아 가맹점주 간의 분쟁을 일으켰다. 심지어 약 400m 내에도 신규 가맹점이 개설되는 형국이다. 실내장식 비용도 기준금액보다 터무니없이 올린 뒤 이를 가맹점주에게 부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가맹본부들은 부가적인 이윤을 취득하기 위해 가맹비, 실내장식 비용, 주방용품, 교육비 등을 가맹점주들에게 전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가맹본부들의 사업행태는 가맹점주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에게도 고스란히 피해를 준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프랜차이즈 형태의 가맹본부에 대한 점검이나 피해자 보호를 위한 장치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피해 신고가 발생할 때만 사건에 대해 조사한 뒤 위법행위에 대한 조치를 한다. 가맹점 위생상태 등의 점검은 해당 담당구청 소관이어서 관리가 소홀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부산식약청 관계자는 "커피 전문점의 경우 해당 구청 담당으로 점검 대상이 아니다"라면서도 "다만, 식품 제조 업체에 대해서는 위생 점검 등을 실시할 수 있다"고 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최근 들어 프랜차이즈 가맹에 대한 신고 건수가 많지는 않다"며 "신고가 접수되면 조사에 착수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전체적인 안전 점검이나 공정거래에 대한 조사는 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가 커피 브랜드는 저비용으로 비교적 손쉽게 창업할 수 있다.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높아 전반적으로 매출이 증가, 올 상반기 창업의 관심 키워드가 된 것이 바로 ‘저가 커피 전문점’이다.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한 대박의 꿈을 안고 창업에 뛰어든 젊은 창업가, 가족의 생계유지와 노후 대비를 위해 마지막 투자를 한 창업자들, 유명 브랜드의 힘만 믿고 아무런 의심을 하지 않은 채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피해는 점점 늘어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