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이 폭염으로 전력수요 문제를 드러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한 부정적 여론 확대를 계기로 발전플랜트 사업에서 수혜를 입을 지 주목된다.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두산중공업은 지난해 12일 문재인 정부가 발표한 8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수주가 유력했던 신한울 3·4호기를 비롯해 신고리 7·8호기 등 건설에서 제외됐다. 원전 1기당 비용이 1조원을 상회하는 것을 감안할 때 이에 따른 두산중공업의 매출 손실분은 최대 7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측된다.
이런 영향으로 두산중공업의 원전 등 발전플랜트 부문 매출 비중은 2016년 31.41%에서 지난해 20%대로 감소했고, 같은 기간 영업이익 비중 역시 30%대에서 10%대로 급감했다.
하지만 최근 잇단 폭염으로 전력수요에 비상이 걸리면서 이같은 기류에 변화가 감지된다. 무엇보다 탈원전 정책에 대한 국민 여론이 악화하고 있다.
앞서 전날 전력 수요가 몰리면서 전체 전력에서 여유 전력 비중을 뜻하는 예비력과 예비율은 각각 709만㎾, 7.7%로 역대 최저치까지 떨어진 바 있다. 정부가 급작스런 탈원전을 추진하는 바람에 전력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는 우려가 커졌다.
문재인 대통령이 같은 날 국무회의에서 전력수요 및 원전 가동에 대한 왜곡이 있다며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음에도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일각에선 이참에 건설 중인 신고리 5·6호기의 공정을 앞당기고, 탈원전 정책을 재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업계안팎에선 두산중공업의 발전플랜트 사업이 전환기를 맞이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현재 두산중공업은 풍력, 태양광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발전플랜트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나, 이 중 가장 높은 마진율을 보이는 것은 원전이다. 추가 수주만 돼도 회사 실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얘기다.
원전이 우려보다 안전하다는 여론도 확산하고 있다.
한 업계 고위 관계자는 "국내 원전은 인류가 살아온 이래 발생한 모든 자연재해를 시뮬레이션화했을 때 견딜 수 있을 정도로 튼튼하다"면서 "특히 일본 원전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설계하기 때문에 방사능이 유출될 우려는 사실상 제로"라고 말했다.
물론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거나 급선회하는 것은 무리라는 전망도 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원전에 대한 잘못된 인식들이 확산돼 협력사 등 관련업체들이 어려움에 처한 것은 사실이다"면서도 "다만 정부가 큰 줄기에서 탈원전 정책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두산중공업 등 원전 시공사들에 대한 수혜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