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생산가능인구(만 15~64세) 1000명당 주택거래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규제, 양도세 중과 및 종합부동산세 개편 등 정부의 전방위적 부동산 시장 압박이 이어지면서 기존 주택시장 거래는 감소했지만, 청약시장 광풍과 함께 분양권 등 비(非) 매매주택 거래가 급증하며 전체 주택거래는 증가하는 기현상을 보였다.
30일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에 따르면 올해 1000명당 주택거래는 47.7건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종전 최대치였던 지난해 46.8건보다도 0.9건 늘어난 것이다.
사실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가 잇따르면서 올해 생산가능인구 1000명당 주택매매거래는 23.3건으로, 2013년 22.7건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정부의 수요억제책이 기존 주택 수요를 위축시켰기 때문이다.
또 올해 주택매매거래는 2006년 집계 이래 처음으로 서울(24.9건)이 인천·경기(24.4건)보다 많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관측됐다. 매매시장의 침체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지만, 상대적으로 수요대비 거래가 서울에서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비 매매주택을 포함한 주택거래는 47.7건으로 2006년 이후 가장 활발히 이뤄진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2015년 45.7건의 거래가 이뤄진 이후 4년 연속 40건 이상 거래가 성사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아파트 분양권 거래가 활발해진 탓이 크다. 최근 청약시장 열풍과 함께 상당수 분양권 단지들에 프리미엄이 형성됐고,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기존 주택에 비해 거래도 빈번해졌기 때문이다.
직방측은 분양권 등 비 매매거래에 머물러 있는 수요층이 향후 주택매매시장으로 진입할 수 있는 대기수요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단기 가격상승 기대심리나 지렛대(레버리지) 효과에 기댄 투기 수요에 따른 시장 전체의 위험성도 높아지고 있다는 지적도 덧붙였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주택보유나 거주보다는 단기 투자성 거래는 금리인상 등 경제환경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며 "정책당국의 신중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