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 반도체(DS) 부문에서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갤럭시 S9' 판매 부진 여파로 전사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감소했지만 반도체, 데이터센터와 고용량 스토리지용 제품의 수요 증가로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으로 매출 58조4800억원, 영업이익 14조8700억원을 달성했다고 31일 밝혔다.
2분기에는 메모리가 호조를 이어갔지만,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판매가 감소하며 전분기 대비 매출은 3.44%, 영업이익은 4.94% 감소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보면 매출은 4.13% 감소한 반면 영업이익은 5.71% 증가했다.
2분기 반도체 사업은 매출 21조9900억원, 영업이익은 11조6100억원을 기록했다. 분기 기준 역대 최대였던 1분기(매출 20조7800억원, 영업이익 11조5500억원) 기록을 또 다시 경신한 것이다.
메모리 시장은 계절적 비수기와 스마트폰 시장의 약세에도 데이터센터용 서버를 중심으로 전반적으로 견조한 수요 증가세를 이어갔다.
낸드는 스마트폰 고용량화 추세와 클라우드 인프라 확대로 서버용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평택에서 생산하는 64단 3D V낸드의 안정적 공급을 바탕으로 신규 모바일 모델과 서버용 SSD의 수요 대응에 주력해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D램의 경우 서버와 데이터센터, 그래픽 수요 증가 등으로 메모리 탑재량 상향 추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삼성전자는 고용량 서버용 D램 등 탄력적인 물량 운영과 공급 확대로 견조한 실적을 이어갔다.
디스플레이 사업은 매출 5조6700억원, 영업이익 1400억원을 기록했다. 플렉시블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의 수요 둔화와 LCD(액정표시장치) TV 패널의 판매 감소로 실적이 감소했다.
IM(IT·모바일) 부문은 매출 24조원, 영업이익 2조6700억원을 기록했다. 하이엔드(High-end) 스마트폰 시장 수요 정체 속 갤럭시 S9의 판매가 감소해 실적이 하락했으나, 네트워크에서는 주요 해외 거래선의 LTE(롱텀에볼루션) 증설투자 확대로 실적이 개선됐다.
CE(소비자가전) 부문은 매출 10조4000억원, 영업이익 5100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특수 속에 QLED(양자점발광다이오드) TV 등 고부가 제품 판매 호조로 TV 이익이 개선됐으나, 생활가전의 경우는 에어컨 수요 둔화로 실적이 하락했다.
한편, 2분기 원화는 달러 대비 약세였으나, 유로·헤알 등 기타 통화 대비에 비해서는 부분 강세를 보여 세트 사업을 중심으로 전분기 대비 약 4000억원 수준의 부정적 환영향이 발생했다.
하반기에는 견조한 메모리 시황이 지속되고 플렉시블 OLED 패널 공급이 확대되면서 부품 사업을 중심으로 상반기 대비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의 경우 메모리는 서버와 PC의 수요 견조세가 지속되고, 모바일 신제품 출시에 따른 수요 강세로 양호한 실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서버용 고용량 메모리 등 차별화 제품에 대한 고객사 수요 증가에 적극 대응하고 10나노급 제품의 비중 확대와 본격적인 5세대 V낸드 양산을 통해 기술리더십 강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디스플레이의 경우는 플렉시블 OLED 패널 공급이 확대돼 실적 개선이 예상되나, LCD는 수요 확대에도 불구하고 업계 공급 증가로 실적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무선 사업은 업계 내 신모델 출시와 가격경쟁 심화 등으로 어려운 시장 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갤럭시노트9 신제품 조기 출시와 동시에 중저가 모델의 경쟁력 강화에 나서 판매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CE 부문은 연말 성수기를 맞아 TV 중심으로 실적이 상반기 대비 개선될 전망이다. TV의 경우 QLED·8K TV 등의 제품 판매 확대로 실적 성장세가 지속될 전망이며, 생활가전은 프리미엄 제품 확대를 통해 수익성 확보에 주력할 방침이다.
또 삼성전자는 이날 올해 2분기 8조원의 시설투자를 집행했다고 밝혔다. 사업별로는 반도체 6조1000억원, 디스플레이 1조1000억원 수준이다. 상반기 누계로는 반도체 13조3000억원, 디스플레이 1조9000억원 등 총 16조6000억원이 집행됐다.
'갤럭시 S9' 판매 부진 여파로 전사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감소했지만 반도체, 데이터센터와 고용량 스토리지용 제품의 수요 증가로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으로 매출 58조4800억원, 영업이익 14조8700억원을 달성했다고 31일 밝혔다.
2분기에는 메모리가 호조를 이어갔지만,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판매가 감소하며 전분기 대비 매출은 3.44%, 영업이익은 4.94% 감소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보면 매출은 4.13% 감소한 반면 영업이익은 5.71% 증가했다.
2분기 반도체 사업은 매출 21조9900억원, 영업이익은 11조6100억원을 기록했다. 분기 기준 역대 최대였던 1분기(매출 20조7800억원, 영업이익 11조5500억원) 기록을 또 다시 경신한 것이다.
메모리 시장은 계절적 비수기와 스마트폰 시장의 약세에도 데이터센터용 서버를 중심으로 전반적으로 견조한 수요 증가세를 이어갔다.
낸드는 스마트폰 고용량화 추세와 클라우드 인프라 확대로 서버용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평택에서 생산하는 64단 3D V낸드의 안정적 공급을 바탕으로 신규 모바일 모델과 서버용 SSD의 수요 대응에 주력해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D램의 경우 서버와 데이터센터, 그래픽 수요 증가 등으로 메모리 탑재량 상향 추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삼성전자는 고용량 서버용 D램 등 탄력적인 물량 운영과 공급 확대로 견조한 실적을 이어갔다.
디스플레이 사업은 매출 5조6700억원, 영업이익 1400억원을 기록했다. 플렉시블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의 수요 둔화와 LCD(액정표시장치) TV 패널의 판매 감소로 실적이 감소했다.
IM(IT·모바일) 부문은 매출 24조원, 영업이익 2조6700억원을 기록했다. 하이엔드(High-end) 스마트폰 시장 수요 정체 속 갤럭시 S9의 판매가 감소해 실적이 하락했으나, 네트워크에서는 주요 해외 거래선의 LTE(롱텀에볼루션) 증설투자 확대로 실적이 개선됐다.
CE(소비자가전) 부문은 매출 10조4000억원, 영업이익 5100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특수 속에 QLED(양자점발광다이오드) TV 등 고부가 제품 판매 호조로 TV 이익이 개선됐으나, 생활가전의 경우는 에어컨 수요 둔화로 실적이 하락했다.
한편, 2분기 원화는 달러 대비 약세였으나, 유로·헤알 등 기타 통화 대비에 비해서는 부분 강세를 보여 세트 사업을 중심으로 전분기 대비 약 4000억원 수준의 부정적 환영향이 발생했다.
하반기에는 견조한 메모리 시황이 지속되고 플렉시블 OLED 패널 공급이 확대되면서 부품 사업을 중심으로 상반기 대비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의 경우 메모리는 서버와 PC의 수요 견조세가 지속되고, 모바일 신제품 출시에 따른 수요 강세로 양호한 실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서버용 고용량 메모리 등 차별화 제품에 대한 고객사 수요 증가에 적극 대응하고 10나노급 제품의 비중 확대와 본격적인 5세대 V낸드 양산을 통해 기술리더십 강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디스플레이의 경우는 플렉시블 OLED 패널 공급이 확대돼 실적 개선이 예상되나, LCD는 수요 확대에도 불구하고 업계 공급 증가로 실적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무선 사업은 업계 내 신모델 출시와 가격경쟁 심화 등으로 어려운 시장 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갤럭시노트9 신제품 조기 출시와 동시에 중저가 모델의 경쟁력 강화에 나서 판매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CE 부문은 연말 성수기를 맞아 TV 중심으로 실적이 상반기 대비 개선될 전망이다. TV의 경우 QLED·8K TV 등의 제품 판매 확대로 실적 성장세가 지속될 전망이며, 생활가전은 프리미엄 제품 확대를 통해 수익성 확보에 주력할 방침이다.
또 삼성전자는 이날 올해 2분기 8조원의 시설투자를 집행했다고 밝혔다. 사업별로는 반도체 6조1000억원, 디스플레이 1조1000억원 수준이다. 상반기 누계로는 반도체 13조3000억원, 디스플레이 1조9000억원 등 총 16조6000억원이 집행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