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성수기 교통정체, 4차산업혁명으로 해결

  • 지능형교통시스템 분야 국내특허출원 급증

[사진=특허청]

기존 교통체계에 정보통신·센서네트워크 기술을 융합한 지능형교통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이 고질적인 교통정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 관련 특허출원도 증가 추세다.

특허청은 지능형교통시스템 분야 국내특허출원이 2016년 이후 급증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연도별 출원현황을 살펴보면 2010~2015년에는 한 해 평균 109건 정도 출원됐으나, 2016년에 177건으로 급증했다. 지난해는 196건으로 2015년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2016년 이후 특허출원이 급증한 것은 중소기업들이 시장 선점을 위한 기술개발에 적극 뛰어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5G를 비롯한 새로운 고속 통신기술의 빠른 성장에 힘입어, 통신관련 기술의 출원이 급증한 것이 눈에 띈다.

최근 5년간 출원된 기술을 분석해 본 결과, 통신관련 기술(41%), 내비게이션관련 기술(18%), 교통신호제어관련 기술(10%), 교통량감지기술(5%) 순으로 나타났다. 2005년 이후 출원인 유형을 분석해보면 중소기업(39%), 학교 및 연구소(22%), 대기업(16%), 외국기업(5%) 순으로 조사됐다.

특허청 관계자는 "지능형교통시스템은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IoT 센서네트워크 기술 및 자율주행차량 관련기술과 더불어, 향후 성장가능성이 가장 큰 기술분야 중 하나로 예상된다"며 “비지니스 모델과 제품을 연계해 특허전략을 수립하고, 조기에 지식재산권을 획득해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