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가 지난달 6일 출시한 LG V35 씽큐. 모델이 LG전자 베스트샵 동교점에서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LG전자 제공]
2분기 LG전자 스마트폰 출하량이 최근 5년간 최저치를 기록했다.
2일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LG전자는 2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950만대를 출하해 점유율 3%로 9위를 차지했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29%, 전 분기 17% 감소한 수치다. SA는 "LG전자가 지난 20분기 동안 기록한 최저 출하량"이라고 분석했다.
LG전자는 피처폰을 포함한 전체 휴대폰에서는 1000만대를 출하해 점유율 2%로 전체 11위였다. 작년 동기 대비 32%, 전 분기 대비 17% 감소했다.
글로벌 휴대폰 도매 수익에서도 2분기 18억달러(2조243억원)를 기록해 지난해 동기 대비 25%가 감소했다. 이 역시 최근 5년간 최저 수치다.
LG전자는 2분기 주요 마켓인 북미 지역에서 작년 동기 대비 출하량이 26% 감소했고, 서유럽·남미 등지에서도 각각 41%, 4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 판매량은 전년 대비 4% 감소했다.
이는 중국 업체의 물량 공세가 거세지는 상황에서 LG전자가 상반기 선보인 전략 스마트폰 'G7 씽큐'가 주요 시장에서 흥행에 성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LG전자는 5월 국내 G7 씽큐를 출시하고 6월 북미를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에 G7 씽큐를 순차 출시했지만 예상보다 부진한 실적을 냈다.
2분기 글로벌 시장에서는 삼성이 20.9%(7300만대)로 1위였고 화웨이가 15.8%(5400만대), 애플이 12.1%(4130만대)로 2∼3위였다. 중국업체인 샤오미와 오포가 각각 9.1%, 8.6% 점유율로 4∼5위였다.
삼성전자는 1위를 유지했지만, 전년 동기 판매량과 점유율이 각 10.1%포인트, 1.7%포인트 감소해 상위 5위권 업체 중 유일하게 판매량과 점유율이 모두 줄어들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올 하반기 신제품을 앞세워 실적 개선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