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개별적으로 스마트공장을 도입할 경우 5000만원의 비용이 필요하다면, 유사 공정을 가진 5개 이상의 기업이 공동으로 도입하면 동일 솔루션을 4000만원에 구매할 수 있는 방식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기업들이 공동구매 방식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도록 지원하는 ‘2018년도 업종별 특화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사업’을 6일 공고한다고 5일 밝혔다. 중기부는 이 사업을 올해 시범사업으로 우선 진행한다.
이 사업으로 총 30억원 내외를 지원할 예정이며, 기업은 스마트공장 도입 비용의 50% 이내에서 최대 40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기업・단체가 공급기업을 선정하지 못할 경우, 전담기관에서 공급기업 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 사업은 HACCP 위생관리제도 강화 등 정부정책 변화나 정부규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을 우선 지원할 예정이다. 청년 선도 산단 등 유사 업종이 밀집한 지역에서 신청할 경우도 가점도 부여한다.
조주현 중기부 기술인재정책관은 “이 사업은 국정과제이자 정부 8대 혁신성장 선도사업 중 하나로서 시행중”이라며 “그동안 자금부담 등으로 스마트공장 도입을 주저하던 기업들에게 혜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유사 시스템을 구축한 기업들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스마트공장을 통한 협업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스마트공장추진단은 사업 참여를 원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오는 14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 설명회에 참여한 협․단체나 기업은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 설명을 들을 수 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8/05/20180805080152617498.jpg)
[중기부 로고.]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