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기업진흥공단.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등 사회적경제 기업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부 정책은 ‘판로확대 지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은 사회적경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200개 기업 중 45%가 ‘공공조달, 우선구매 등 판로확대 지원(45.0%)’을 가장 중요한 정부정책으로 선택했다고 6일 밝혔다. 판로확대에 이어 필요한 지원은 통합지원체계 마련(25.0%)과 인력양성체계 강화(19.5%), 금융 접근성 제고(10.5%) 등이 꼽혔다.
사회적경제 기업 지원을 위한 중진공 사업으로는 △지역사회 기반 사회적경제 기업의 활성화(37.5%) △금융, 경영컨설팅, 인력 등 원스톱 지원(29.5%) △사회적경제 기업 대상 금융지원 확대(21.5%) △협업지원(11.0%) 등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중진공은 정책자금 융자 지원 시 적용하는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예산도 작년 225억원에서 올해 350억원으로 확대했다. 또한, 사회적경제 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정책자금 융자와 기업진단, 수출·마케팅, 컨설팅, 임직원 연수 등을 패키지로 연계 지원하고 있다.
이번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업을 통한 지역별 특화 성공사례를 창출하고, 사회적경제 기업 간 기술개발, 생산, 마케팅, 물류 등의 협업사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사회적경제 기업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취약계층 고용으로 일자리 창출’(56.5%)로 나타났다. 이어 지역사회 연계 및 지역경제 활성화(29.0%), 취약계층 소득 창출로 양극화 해소(8.0%), 취약계층 서비스 제공으로 사회안전망 강화(6.5%) 등이 선택됐다.
이상직 중진공 이사장은 “FC 바르셀로나, 썬키스트 등과 같은 성공사례처럼 다수의 경제적 약자가 협력해 만든 사회적 경제 기업을 적극 육성할 것”이라며 “좋은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사회적경제 기업에 차별화된 지원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