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벤처펀드 '과속 후유증'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승재 기자
입력 2018-08-08 18:2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공모형 12개 중 10개서 손실

코스닥 지수가 전 거래일 대비 0.89포인트(0.11%) 내린 783.81에 장을 마감한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직원들이 코스닥 지수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덩치를 빠르게 불려온 코스닥 벤처펀드가 '과속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

8일 증권정보업체인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12개 코스닥 벤처펀드(공모형) 수익률은 전날까지 3개월 동안 -2.3%를 기록했다. 올해 4월 출시 이후 공모형 벤처펀드에 7700억원가량이 들어왔고, 사모형 벤처펀드로는 2조원 넘게 몰렸다.

공모형 벤처펀드 12개 가운데 약 83%에 해당하는 10개에서 손실이 발생했다. 현대인베스트먼트자산운용이 내놓은 벤처펀드는 3개월 만에 6.6%에 달하는 손실을 냈다. 12개 벤처펀드 가운데 가장 저조한 성적이다. 설정액이 3700억원으로 가장 많은 KTB자산운용 벤처펀드도 1%대 손실을 기록했다.

상황이 이러니 자금 유입도 주춤해졌다. 공모펀드 설정액은 처음 감소세로 돌아섰고, 사모펀드도 출시 이후 가장 저조한 증가율을 보였다. 금융투자협회가 집계한 자료를 보면 코스닥 벤처펀드(공모형) 설정액은 7월에만 전월 대비 1.24% 감소했다. 사모형 설정액도 약 3% 늘어나는 데 그쳤다.

자금이 한꺼번에 몰렸지만, 마땅한 투자처를 찾기 힘든 상황이다. 실제로 벤처펀드 출시 이후 코스닥이 크게 뒷걸음질쳤다.

애초 코스닥 벤처펀드는 공모주를 우선 배정해주는 덕분에 인기를 모았었다. 정부는 코스닥에 자금을 50% 이상 투자하면 공모주 물량 가운데 30%를 먼저 받을 수 있게 했다. 4~5월 공모주 청약경쟁률이 크게 높았던 이유다.

당시 현대사료 청약경쟁률은 1690대1에 달했다. 상반기 최고 기록이다. 링크제니시스(1184대1)와 파워넷(1144대1), 린드먼아시아(1039대1), 제노레이(1028대1)도 1000대1을 넘어섰다.

괜찮은 투자처를 찾기가 어려워지자 비우량 전환사채(CB)를 사들이는 사례도 나타났다. 코스닥 벤처펀드는 일정 자산을 벤처기업에 투자해야 하기 때문이다. 자산운용사 입장에서는 억지로 조건이 나쁜 CB를 편입할 수밖에 없다.

결국 CB를 대주주에만 유리하게 발행하는 바람에 매수청구권(콜옵션) 행사 비율이 크게 뛰었다. 콜옵션은 전환사채를 사들인 투자자에게 되팔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다. 즉, 주가가 올랐을 때에도 낮은 행사가로 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

이마저도 대형 자산운용사만 독차지했다. 중소형 자산운용사에는 CB 발행을 맡기지 않는다는 얘기다. 일부 소형사는 벤처펀드 설정을 철회하기도 했다. 이러는 바람에 공모주 우선 배정에서도 밀렸다.

한 자산운용사 대표는 "정부 차원에서 속도 조절에 나섰어야 했다"며 "취지는 좋은 상품이지만, 제도는 보완해야 할 여지가 많아 보인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