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시장은 포화 상태다. 해외 진출에 나서야 한다."
2011년 권혁세 금융감독원장은 국내 은행장들과의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로부터 7년이 지난 후 우리나라 은행들은 점차 해외로 보폭을 넓히고 있다. 국내 시장에 안주한 채 출혈경쟁으론 살 수 없고 핀테크 산업의 발전과 인터넷은행의 등장으로 땅 짚고 헤엄치던 시대가 지났기 때문이다.
은행들은 새로운 먹거리 창출 지역으로 동남아를 낙점했다.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는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이 주 타깃이다. 이들 시중은행은 현지 은행 지분을 인수해 로컬사업 기반을 공고히 하고, 모바일 업체들과의 협업으로 신사업 진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현지 금융사 인수로 로컬 기반 다지는 은행들
인도네시아 금융당국은 2015년부터 외국은행의 자국은행 인수·합병에 대한 규제를 완화했다. 이에 국내 은행들은 2016년부터 인도네시아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실제로 우리은행은 2014년 인도네시아 소다라은행(Saudara Bank) 지분을 인수했다. 2015년에는 신한은행이 인도네시아 뱅크 메트로 익스프레스(BME)를 인수하며 인도네시아 공략에 힘을 실었다.
기업은행은 인도네시아 아그리스 은행(Bank Agris)과 미트라니아가 은행(Bank Mitraniaga) 지분을 매입했다. 해외 진출에 소극적이었던 KB국민은행도 지난달 말 인도네시아 부코핀은행 지분을 인수하면서 문재인 정부가 추진 중인 '신남방정책'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에 이어 베트남도 주요 공략대상이다. 신한은행이 대표적이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호주계 은행인 ANZ(Australia and New Zealand Bank)의 베트남 법인 중 소매금융 부문을 인수했다. 최근에는 삼성페이와 손잡고 베트남 선불카드 시장에 진출했으며, 베트남의 카카오톡으로 불리는 잘로(Zalo) 등과의 협업을 통해 모바일 분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과실은 아직 부족, 투자여력은 충분
이처럼 국내 은행들이 동남아국가들을 중심으로 해외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는 반면, 떨어지는 과실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은행이 해외에서 거둔 당기순이익은 8억7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6억5100만 달러) 대비 23.9% 증가한 수치지만 규모로 따지면 지난해 국내은행 총 당기순이익(11조2000억원)의 7.7%에 불과하다.
하지만 은행들은 해외진출 속도를 줄이지 않고 있다.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점포 수는 총 433개다. 2011년 말(359개) 대비 20.6%가 늘었다. 전체 해외점포 중 은행은 186개로 전체의 43%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여신전문금융회사는 45개로 2011년 18개 대비 두 배 이상 늘었다.
다만 감독당국과 금융권에서는 일부 한정된 국가들을 대상으로 투자가 이뤄지는 데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수익성 및 성장 잠재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등 신흥 아시아 지역으로의 진출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라면서도 "일부지역으로의 진출 집중 및 경쟁 심화 등에 따라 수익성이 하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대외변수에 취약한 신흥국시장에 잇따라 진출한 만큼 리스크도 존재한다.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 금융사의 외화대출 규모는 1068억4000만 달러로 2015년 이후 매년 10% 이상 증가하고 있다.
김보영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신흥국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우려되고 있어 특정 신흥국에 해외점포가 집중된 우리 금융기관의 위험관리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진출 중장기적 전략 필요
국내 은행이 해외 진출에 성공하려면 중장기적 전략의 수립과 현지인력 활용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서병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해외진출은 중장기적 투자이기 때문에 긴 안목을 가지고 상당 기간의 사전 작업을 거쳐 일을 추진해야 한다"며 "현지 연구진을 고용해 현지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본점의 모바일 역량을 도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해외 진출 관련 의사결정 체계는 분산되지 않도록 중앙집권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외부 전문인력을 영입하고, 해외 전문인력의 순환근무로 인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