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가 되느냐, 안되느냐의 문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의 말이다. 신한금융지주가 ING생명보험 인수·합병(M&A)을 위한 협상에 돌입하면서 시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4일 조용병 신한지주 회장은 서울 중구 본점에서 기자들과 만나 인수와 관련해 "실무자들이 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인수시) 비은행 보강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가격이 높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가격 이슈가 중요하다. 디테일에 따라 변수가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신한금융은 지난해부터 ING생명 인수를 추진해왔다. MBK파트너스의 100% 자회사인 라이프투자유한회사가 보유중인 ING생명 지분 59.15%가 대상이다. 현재 시장에서는 2조원에서 2조4000억원의 가격으로 협상이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건은 비용대비 시너지 발생 여부다. 또 IFRS7 도입을 앞두고 추가 자본확충 등 리스크가 얼마나 될지 현재까지 알 수 없다. KB금융지주가 ING생명 인수에 큰 관심을 갖지 않은 것도 이같은 이유다. KB지주는 최고의 시너지가 보장되는 매물이 나올 때 까지 M&A시장을 주의 깊게 지켜보겠다는 자세를 취해왔다. 결론은 시너지 보다는 비용적인 부담이 더 컸다는 것을 의미한다.
2조원이 넘는 인수자금과 잔여지분 인수에 1조원 이상을 투자할 경우 자회사의 성장을 제한받을 수 있고 다른 M&A에도 나서기 어렵다.
금융투자업계는 인수자금의 절반 이상을 유상증자 대신 자회사 출자로 조달이 가능하다는 분석을 내놨다. 한국투자증권은 외화신종자본증권 5억달러를 포함할 경우 현재 신한지주의 이중레버리지비율을 119.7%로 추정했다.
백두산 연구원은 "130%까지 이중레버리지 비율을 확대할 수 있어 인수금액을 2조4000억원으로 가정했을 때 그 중 1조7000억원은 지주 차입으로 조달이 가능하다"며 "부족분 6739억원은 은행 중간배당과 순이익 발생, 원화신종자본증권 추가조달로 확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수자금 조달이 완료돼도 2021년부터 도입되는 IFRS17은 부담이다. 작년말 기준 ING생명의 지급여력비율(RBC risk-based capital ratio) 455.3%로 생명보험 업계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어 추가 자본조달 가능성은 낮은 편이다. 하지만 금리 상승 기간에 접어든 만큼 채권값 하락에 따른 채권 평가 손실은 부담이다.
또 금융업계에서는 IFRS17이 실질적으로 도입될 경우 예상 외 변수가 도래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 "ING생명의 RBC비율이 업계 최고 수준이긴 하지만 제도 시행이 본격화될 경우 예상치 못할 문제가 터져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국내 보험사들은 IFRS17 도입을 앞두고 여러 가지 평가작업을 진행 중인데, 이는 모의고사로 보면된다"면서 "실제 2021년 제도가 본격 시행되면 예상치 못한 곳에서 문제가 터져나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2016년 알리안츠생명의 RBC비율이 기준치를 상회했지만 추가 유상증자 및 구조조정 등을 위해 비용이 대규모로 소요된 전례가 있다"면서 "상당수 금융사들이 생보사 인수에 소극적인 이유"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