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호 청와대 일자리수석은 “일자리가 만들어질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찾아가고 누구든 만나 현장형 수석이 되겠다”며 “내년까지 일자리 10만개를 더 만들겠다”고 말했다.
정 수석은 지난 14일 경제지와의 합동인터뷰에서 ‘현장 일자리 수석'이 되겠다는 다짐으로 기업인들과 현장 근로자들을 만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 수석은 "일주일에 두 번 정도 현장으로 나가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며 "일자리 잘하는 기업의 모델을 많이 찾아 전파도 하고, 일자리를 만드는 곳에서 기업인들이나 근로자들의 이야기를 듣고 막혀 있는 '동맥경화'를 확 뚫어주는 게 제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수석은 특히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성공시켜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수석은 현재의 고용 시장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고 있고, 자동차·조선 등 주력 제조업의 구조조정, 중국인 관광객 회복이 지연되는 구조적·경기적 요인이 중첩됐기 때문”이라며 “단기간 내에 개선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으며, 내년까지를 정책 일정으로 설정하고 고용 창출력을 높일 계획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선업은 연말이면 구조조정이 끝나고 자동차 부분도 개별소비세를 인하하면서 소비가 늘어나 일자리가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내년 초부터는 고용 정책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 수석은 ‘공공부문 일자리’가 너무 많은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지난해 문재인 정부는 공공부문 일자리를 2만9000개 늘렸음에도 여전히 공공부문 일자리 비중은 8.9%에 불과하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평균 공공부문 일자리가 18.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반박하면서 “다만 방만경영 방지를 위해선 지속적인 관리·감독이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수석은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추가 대책과 관련해 “최저임금 인상은 업종이나 분야별로 영향이 아주 다양하게 나타난다. 각 업종에 맞는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향후 소상공인과 영세중소기업 지원 추가 대책으로 △수수료 부담 완화 △안정적 임차 환경 △가맹본부-가맹점 간 불공정행위 방지 △경영여건 개선 지원 등을 꼽았다.
정 수석은 또 ‘주 52시간제’ 시행으로 일부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긍정적 효과가 더 크다. 52시간이 되니 문센족(문화센터족)이 늘어나 자기 계발을 하려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새로운 생활 문화는 새로운 산업으로 발전할 것”이라며 “새로운 산업들이 고용을 새롭게 일으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