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상봉이 21일 금강산에서 이틀째 열리고 있는 가운데, 2년 여만에 공개된 금강산 등 북한의 모습에도 눈길이 쏠린다.
금강산 관광이 한창이던 시절, 농협이었던 건물에는 '대동강 은행'(DDG BANK)이라는 간판이 붙어 있었다.
건물 정면 상단에는 '농협' 마크를 뗀 흔적이 선명하게 남아있었고, 건물 현관은 관리를 잘하지 않은 탓인지 일부 갈라지고 깨져 있었다.
대동강 은행의 영업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농협이 철수한 이후 해당 건물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상봉단이 머물고 있는 외금강호텔에서 5분 정도 걸어가자 이날도 영업을 하고 있는 '금강산일포상점'도 볼 수 있었다.
이 가게에서는 술, 화장품, 꿀, 한복 입은 인형(판매원은 '전통인형'이라고 설명), 가구, 말린 나물과 버섯 등을 판매한다.
인삼이 들어있는 개성고려인삼화장품 등도 진열된 모습이 눈에 띄었다.
매장 내에는 판매원 8명 정도가 한복을 입고 영업하고 있었다.
북측 점원의 설명에 따르면 이 가게는 일반적으로 중국인 관광객 등이 이용한다.
중국 관광객이 언제 마지막으로 왔었냐는 질문에 판매원들은 "모릅네다"라고만 대답했다.
일부 판매원들도 "최근에 와서 잘 모릅네다"라고 말했다. 그는 자신이 평양에서 근무하고 있다가 이번 행사 계기로 지원해서 왔다고 설명했다.
온정각 서관 건물에 있는 '해금강상점'도 영업 중이었다. 판매원 3명이 술과 담배, 건강보조식품 등을 팔고 있었다.
또한 금강산에서 마주친 종업원 등에게 최근 북한의 변화에 대해서 들을 수 있었다.
금강산호텔 직원들은 자신들이 대부분 '손전화'(휴대폰)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근무시간에는 업무에 방해가 돼 사용할 수 없다"며 "퇴근 후 손전화로 친구들과 문자메시지도 주고받고 한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처럼 카카오톡 등 휴대폰 앱을 사용하는 건 아니고, 기본적인 문자메시지 기능을 이용한다.
이날 외금강호텔 왼쪽에 있는 금강약수 인근 계단에서는 작업복 차림의 한 남성이 앉아서 휴대폰을 가로로 잡고 동영상을 보고 있는 모습도 취재진에게 포착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