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속 이야기] 지하 125m에서 걸려온 전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백준무 기자
입력 2018-09-06 00: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1967년 9월 6일, 광부 김창선씨 매몰 15일만에 극적 구조…청와대 한마디에 호적 바뀌기도

1967년 9월 6일 갱도에 매몰된 지 15일 만에 구조된 김창선씨가 서울의 한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있다. [사진=대한뉴스 639호 화면 캡처]


1967년 9월 6일. 36세의 광부 김창선씨가 지하 125m에 갇힌 지 15일 9시간 만에 구조됐다. 아무것도 먹지 못한 채 2주 이상 갱도에 갇혀 있었던 김씨는 19㎏이나 몸무게가 줄어 뼈가 앙상한 채 수염이 더부룩한 모습이었다. 세상에 나온 그는 "밥이 가장 먹고 싶었다"는 소박하면서도 절박한 소감을 밝혔다.

김씨는 그해 8월 22일 충남 청양군 구봉금광에서 일하던 도중 수직갱도가 무너지면서 그대로 매몰됐다. 전형적인 인재(人災)였다. 목재로 듬성듬성하게 마감된 갱도 벽에서 진작에 균열이 발견됐음에도, 광산을 운영하던 업체는 10일 동안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심지어 매몰 이틀째까진 구조 시도조차 없었다.

3일째인 25일, 지하에 있는 김씨로부터 전화를 받고서야 사측은 구조에 나섰다. 놀랍게도 김씨는 갱내에 있는 고장난 전화기를 직접 고쳐서 자신이 살아있다는 사실을 알렸다. 해병대 통신병 출신이었기에 가능했다. 하지만 파이프를 연결해 음식을 전달하려는 시도가 번번이 실패하면서, 김씨는 꼬박 15일을 굶으며 지하수로 버텨야 했다. 연인원 2200명이 15일간 밤낮으로 작업한 끝에 구조는 성공적으로 끝났다.

구출된 김씨는 이름도 되찾았다. 김씨는 애초 양씨로 알려졌다. 김씨는 훗날 한 인터뷰에서 군 입대 당시 서류에 '양창선'으로 이름이 잘못 기재됐던 것이라고 밝혔다. 부대에 정정을 요구했지만 묵살됐고, 호적 정정 절차가 까다로워 전역 후에도 양창선으로 살았던 것이다. 황해도 출신인 김씨에겐 본명을 증언해줄 만한 사람도 없었다.

마침 현장에는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구조 작업을 독려하던 청와대 관계자가 있었다. 김씨가 어렵게 "이름을 되찾고 싶다"는 말을 꺼냈더니, 양창선이란 이름이 단박에 김창선으로 바뀌었다. 군사정권 시대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박 대통령은 구조된 김씨에게 축하를 보냈다. 관계당국과 광산업계의 반성을 촉구하며 "앞으로 모든 광산에서 광부들의 안전을 위한 만반의 대책을 강구하라"는 지시를 내리기도 했다. 그러나 엄포가 무색하게도 김씨 구출 사흘 만에 또 다른 매몰 사고가 일어났다. 강원 삼척시 흥국광산의 갱도가 무너져 광부 6명이 목숨을 잃었다. 한편 김씨는 그 후로도 1년을 광부로 일한 뒤 보일러 기사로 직업을 바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