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비브리오 패혈증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 균에 의해 발병하는 제3군 법정 감염병으로, 바닷물 온도가 18℃ 이상 상승하는 5∼6월 환자가 처음 발생해 8∼9월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이 병은 비브리오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상처가 있는 사람이 오염 바닷물에 접촉하면 피부를 통해 감염될 수 있는 가운데, 일반적으로 면역 기능이 떨어진 사람에게서 주로 발병한다.
이 균에 감염되면 1~3일 정도 짧은 잠복기를 거쳐 발열과 오한 협압 저하, 복통, 설사 등이 나타나고, 증상 발생 후 24시간 이내 발진이나 수포, 괴사성 병변이 주로 하지에서 발생한다.
고일환 도 복지보건국장은 “충남 서해안의 해수 온도가 예년에 비해 높아 세균 증식이 활발하므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덜 익혀 먹을 경우, 또는 상처 난 피부에 바닷물이 닿을 경우 비브리오패혈증 감염 위험이 높다”고 말했다.
고 국장은 이어 “비브리오패혈증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5℃ 이하로 어패류를 냉장 보관하고, 수돗물에 씻거나 85℃ 이상 완전 가열해 섭취하며, 피부에 상처가 있는 상태로 해수와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지난 1일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비브리오패혈증 환자는 29명(충남 3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7명(〃 1명)에 비해 12명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해 46명 중 19명이 9월에 발생하는 등 매년 9월 비브리오패혈증 환자가 정점을 이루고 있다.
도는 어패류 취업 업소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병원성 비브리오균 실험실 감시 사업과 비브리오패혈증균 예측조사를 실시하고 비브리오패혈증 발생에 대비 중이다. 예측조사는 서산, 당진, 홍성, 서천, 태안 등 6개 시·군에서 해수와 하수, 어패류, 갯벌, 수족관수 등을 채취·검사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