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서 도심 악취 잡기에 나섰다.
시는 27일 '악취관리 종합 대책'을 추진키로 하고, 다양한 악취 발생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번 대책은 악취 배출원을 공장 등 배출시설사업장,하수처리장 등 공공환경기초시설과 맨홀 등의 생활악취로 분류하고, 분야별 '맞춤형'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특징이다.
시는 주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하천, 맨홀, 정화조, 음식점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악취에 대해 현황을 파악하고 발생 원인을 분석해 미해결 민원에 대해서는 완전한 해소가 될 때까지 집중관리 한다.
시는 집중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맨홀(8만346개), 정화조(19만9,744개), 지방하천(45개소), 직화구이 음식점(100㎡ 이상 831개소), 폐기물 적환장 등(144개소)에 대해 지원 대책, 예방, 대응, 홍보, 전파 등 3개 분야로 나눠 9개 시책을 추진한다.
생활악취 민원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완전한 해소가 되지 않고 동일 민원이 반복해 제기되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악취방지법' 에 생활악취에 대한 규제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시는 생활악취에 대한 규제기준의 부재에 대해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대응키로 했다.
첫째 맨홀, 하천 등 공공시설 미해결 민원에 대해서는 구, 군, 환경공단 등 소관기관에서 관리카드를 작성해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둘째 일정요건을 갖춘 음식점, 정화조, 소규모배출시설 등 개인시설에 대하여는 '악취방지시설 설치비용 및 기술지원 사업'을 시행한다.
또한 부산시는 악취 분석 장비도 확충한다. 시는 6억 5천만 원을 들여 구입한 이동식 실시간 대기측정시스템을 10월 중현장에 배치 할 계획이다.
측정시스템은 악취 성분의 실시간 정밀분석이 가능하며, 분석된 자료를 통해 공단지역 악취지도 작성, 생활악취 지도 작성 등에 활용하게 된다.
예방 대응분야에서는 '악취발생 우려지역에 대한 기동순찰반 운영'을 위해 시는 무기계약직근로자 2명을 직접 채용할 계획이다. 시책이 시행되면 구, 군의 인력 부족으로 관리가 소홀했던 하천, 유수지 등에 대한 상시 순찰이 가능해진다.
이와 더불어 공공환경기초시설 악취도 강화한다. 시가 직접 관리하거나 위탁한 공공환경기초시설 18개소(하수‧분뇨 13, 폐수 2,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 3)에 대해서는 5년 주기로 악취기술진단을 실시하고 개선이 필요한 경우 연차적 계획을 수립 조치한다.
또한 사업장배출시설 악취도 지속관리 한다. 시가 2017년도 악취민원 발생 원인과 유형을 분석한 결과 사업장배출시설 악취 민원이 총 발생 건수의 89%(1,630건)를 차지할 만큼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다.
공장 등의 악취배출사업장은 1,737곳으로, 이 중 4개 공단(신호녹산국가산업단지, 신평장림일반산업단지, 사상공업지역, 정관일반산업단지) 23곳(사하7, 사상9, 강서3, 기장4)이 집중관리 대상이다.
한편 시는 사업장배출시설 악취 관리를 위해 2011년부터 매년 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자발적인 시설개선을 유도하고 있다. 내년에는 '악취방지시설 개선사업' 등 17개 시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