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금융투자협회 종합통계시스템 투자자문계약현황을 보면 계약자 수는 7월 말 현재 8254명으로 전년 동기 1116명보다 640% 가까이 증가했다. 2017년 말(4198명)에 비해서도 2배가량 늘었다. 여기에는 금투협에 보고서를 내지 않는 투자자문사는 빠져 있고, 실제 계약자 수는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주식시장은 올해 들어 요동쳤고, 투자자문 계약자 수도 비슷하게 출렁였다. 5~6월에 계약자가 가장 많이 늘었다. 1·2월은 각각 508명과 659명을 기록했다. 3월은 80명에 그쳤고, 4월에는 633명으로 다시 증가했다. 5·6월은 각각 777명과 819명, 7월에는 580명으로 집계됐다.
투자자문 계약 건수도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2017년 7월 말 1452건에서 그해 말 4846건, 올해 7월 말은 9520건을 기록했다. 자문계약 자산총계도 7월 말 현재 10조5378억원으로 반년 남짓 만에 1조원 넘게 늘었다.
문제는 수익률이다. 3월 결산인 투자자문사 176곳은 1분기(4~6월) 순이익 140억원을 기록했다. 전 분기보다 66%가량 감소했고, 1곳당 평균이 1억원도 안 됐다. 금감원 측은 "주가지수 하락으로 고유재산 운용이익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코스피는 올해 들어 7월까지 2467.49에서 2295.26으로 7% 가까이 내렸다. 코스닥도 같은 기간 3%가량 빠졌다.
불법·불건전 유사투자자문에 피해를 봤다는 사례도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런 이유로 금융감독원에 신고한 건수는 2014·2015년 각각 81건과 82건을 기록했다. 2016년에는 183건으로 두 배 이상 늘었고, 이듬해도 199건에 달했다. 올해 들어 7월까지는 152건으로 집계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유사투자자문업자는 단순 신고만으로 영업할 수 있다"며 "제도권 금융사가 아니기 때문에 서비스를 이용할 때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투자자문업계에서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라며 "상위 5개사가 전체 순이익 가운데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상대적으로 영세한 중소형 투자자문사 재무 상황과 자산 변동, 위험 요인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