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아이클릭아트]
올해 상반기 불법 대부광고에 쓰이다 이용 중지된 전화번호가 6000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종석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올해 1~6월 불법 대부광고에 사용돼 금감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이용중지를 요청한 전화번호는 6099건이다.
대부업법에 따라 금감원은 과기정통부에 불법 사채 등 불법 대부광고에 사용된 전화번호를 이용 못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불법대부광고로 이용중지 요청한 전화번호는 2016년 1만2874건, 지난해 1만3610건으로 매년 1만 건이 넘었다. 올해 역시 1만건을 넘길 가능성이 높다.
상반기 통장 매매에 사용돼 이용중지 요청한 전화번호는 973건, 보이스피싱 등 전기통신금융사기에 사용된 전화번호 이용중지는 2824건으로 집계됐다.
금감원은 이 기간 동안 불법대부광고 관련 전화번호 48건, 통장매매 관련 번호 8건, 전기통신금융사기 관련 번호 10건을 이용중지 해제 요청했다.
김종석 의원은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자 3만1000명에 비하면 이용중지신청은 12% 수준에 불과하다"면서 "적극적인 홍보와 절차 개선을 통해 제도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