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업체의 생존율을 높이려면 정부 차원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8일 한국외식업중앙회 한국외식산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음식점업의 폐업률은 23.8%로 소매업 19.7%, 서비스업 14.1%, 제조업 9.6%를 크게 웃돌았다. 이는 산업 전체 평균인 13.2%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다.
보고서는 자영업자의 폐점 원인으로 "유례없는 폭염, 지속적인 내수 부진, 과포화 생태계의 구조적 문제에 더해 최저임금이 내년 10.9% 오른 8350원으로 인상되면서 직·간접적으로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 정부가 내놓은 8월 소상공인 지원 대책은 기존 대책과 별반 차이가 없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보고서는 외식업체를 대상으로 한 교육 지원 대책이 크게 미흡해 중장기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세금의 감면과 인거비 지원은 단기적 지원일 뿐이라는 것.
보고서에서 제시한 교육은 현재 신규 영업자 6시간, 기존 영업자 3시간으로 돼 있는 법정 위생교육 외에도 맞춤형 교육의 강화이다. 창업 전후 법정 교육이나 지자체 교육 이외에도 외식업주의 경영 능력을 제고하는 실효성 있는 표준화된 교육을 도입이 필요하다고 보고서에서는 주장했다.
또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따르면 매장 관리를 위해 외식 고객 서비스 관리, 식자재 관리, 매장 인력 관리 등의 능력을 갖춰야 하는 만큼 이들 능력별로 표준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외식산업연구원 조사 결과 외식업주의 77%는 모바일 교육이 확대된다면 참여할 뜻이 있다고 대답해 모바일 기반 교육 수요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