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발표될 중국의 3분기 성장률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세계 경제와 금융시장의 주요 근심사 가운데 하나인 중국의 성장둔화 정도가 드러난다는 건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그보다는 올 하반기에 미·중 무역전쟁이 본격화한 이후 처음 나오는 성장률 지표라 다른 때보다 특별한 관심을 받고 있다.
전망은 비관적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7일(현지시간) 로이터와 블룸버그의 이코노미스트 설문조사 결과, 중국의 3분기 성장률이 6.6%(전년동기대비)에 그칠 전망이라고 전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충격이 한창이던 2009년 1분기(6.2%) 이후 최저치다. 올 1분기와 2분기에는 각각 6.8%, 6.7%를 기록했다.
FT는 중국이 7%대 성장률이 깨진 2015년 이후 3년여 만에 가장 주목받는 분기 성장률을 19일 발표할 예정이라며 눈여겨 볼 5가지 쟁점을 꼽았다.
①中지도부 '노패닉'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나 류허 경제담당 부총리는 성장둔화를 문제로만 보지 않는다. 중국 지도부는 올해 주요 정책 화두 가운데 하나로 금융리스크 통제를 강조해왔다. 눈덩이 부채로 상징되는 경제의 뇌관을 제거하기 위해 성장둔화를 어느 정도 용인한다는 방침이다. FT는 올해 중국에서 투자가 줄고 경제 성장 속도가 더뎌진 건 금융리스크 단속 탓이 크다고 지적했다.
더욱이 중국의 성장둔화는 불가피한 것으로 이미 예상돼온 일이다. 이 나라 경제 규모가 2009년 이후 2배로 불어났기 때문이다. 또 3분기 성장률이 예상대로 6.6%에 그쳐도 올해 성장률 목표(6.5%)는 무난하게 달성할 전망이다.
②무역전쟁 역풍은 3분기보다 4분기
시장에서 가장 주목하는 게 폭탄관세 파장이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7월 연간 34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25%의 폭탄관세를 물리는 것을 시작으로 전면적인 대중 무역전쟁에 나섰다. 8월에 160억 달러, 9월에는 2000억 달러 등 연간 2500억 달러어치의 중국산 제품이 폭탄관세 표적이 됐다.
폭탄관세 역풍은 대개 4분기 성장률에 반영될 전망이다. 3분기에는 오히려 미·중 폭탄관세 싸움이 더 거세기 전에 서둘러 교역을 늘린 기업들이 많았다. 덕분에 지난달 중국의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4.5% 늘었다. 대미 무역수지 흑자는 341억 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③中지도부 "그래도 괜찮아"
왕치산 국가부주석을 비롯한 중국 고위인사들은 최근 미국 기업인들과 잇따라 만난 자리에서 중국이 미국과 벌이는 무역전쟁을 견뎌낼 수 있다고 자신했다. 팡싱하이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 부주석은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중국산 제품에 추가 관세를 물려도 중국 경제는 괜찮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FT는 중국 지도부의 자신감이 근거가 없는 건 아니라는 쪽에 무게를 뒀다. 지난해 중국 국내총생산(GDP)에서 대미 수출이 차지한 비중이 4%에 불과하다는 이유에서다.
④무역전쟁-금융리스크 이중고
자신만만한 중국이지만, 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이는 동시에 내부적으로 금융리스크를 통제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성장둔화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FT는 중국 관리들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달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최소한 '휴전'에 합의하길 바라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신문은 중국이 국내 경제정책도 완만하게 조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간 금융리스크 통제 과정에서 위축된 지방정부와 민간부문의 투자를 북돋기 위해서다. 올 1~8월 중국의 고정자산투자는 전년동기대비 5.3% 늘었는데, 같은 기간 증가폭으로는 역대 가장 낮은 수준이다.
중국인민은행이 최근 일부 은행의 지급준비율을 낮춘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전문가들은 다만 인민은행이 미국의 금리 상승세와 위안화 절하 압력 등을 감안해 기준금리를 낮추는 직접적인 통화완화책은 쓰지 않을 것으로 본다.
⑤경제정책 미세조정, 대규모 부양은 'No'
중국이 무역전쟁의 역풍을 의식해 금융리스크를 차단하기 위한 디레버리징(부채 축소) 강도를 다소 완화하고 있지만,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8~2009년과 같은 대규모 부양책을 다시 도입하진 않을 것으로 FT는 내다봤다. 대규모 부양책을 쓰는 게 자칫 중국이 공포에 질렸다는 신호로 작용해 트럼프 행정부에 이로운 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신문은 또 완만한 성장둔화보다 금융리스크가 정치·경제 안정에 더 큰 위협이라는 게 중국 경제정책을 책임진 류 부총리의 생각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