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전국 땅값은 3.33%로, 작년 같은 기간(2.92%) 대비 0.41%p 상승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변동률(1.47%)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지역별 지가변동률을 살펴보면 17개 시·도 땅값이 모두 상승했고, 세종(5.42%), 부산(4.51%), 서울(4.3%), 제주(4.08%), 대구(3.54%) 순으로 높게 상승했다.
또 3.64%를 기록한 수도권의 경우, 서울(4.3%)은 전국 평균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이며, 경기(3.2%), 인천(2.42%) 지역은 전국 평균을 하회했다.
지방의 경우 전체 2.8%로 세종(5.42%)이 최고 상승률을 보였으며, 부산, 제주, 대구, 광주 등 5개 시·도는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시·군·구별로는 경기 파주시(8.14%)를 비롯해 강원 고성군(6.51%), 서울 용산구(6.50%), 부산 해운대구(6.07%), 서울 동작구(6.05%)에서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울산 동구(-2.34%), 전북 군산시(-1.02%), 경남 창원성산구(-0.39%)는 하락했고, 경남 창원진해구(0.24%), 경남 거제시(0.32%)는 상대적으로 낮게 상승했다.
용도지역별로는 주거(3.75%), 계획관리(3.3%), 상업(3.16%), 농림(3.16%), 녹지(2.73%), 생산관리(2.72%)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또 이용상황별로는 주거용(3.64%), 상업용(3.4%), 전(3.14%), 답(3.03%), 임야(2.35%), 공장용지(2.04%) 순으로 올랐다.
한편 올해 3분기까지 누계 전체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241만2000필지(1550.6㎢, 서울 면적의 약 2.6배)로, 작년 3분기까지 누계 대비 3% 감소했고, 재작년 3분기까지 누계 대비 11.1% 증가했다.
거래량은 전년 3분기 누계 대비 분양권거래는 증가했으나, 지역경기 침체에 따른 부산, 울산, 경남 중심의 매매거래 감소로 소폭 감소했다.
한편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81만1000필지(1428.4㎢)로 전년 동기 대비 7.2% 감소했다.
전년 동기 대비 토지 거래량은 광주(11.4%), 경기(9.7%), 전북(8.1%), 대전(7.7%) 등은 증가했고, 경남(-24%), 부산(-23.1%) 등은 감소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세종(35.8%), 대전(15.8%) 순으로 증가했고, 부산(-22.5%), 울산(-19.7%), 대구(-18%) 등은 감소했다.
용도지역별로는 전년 동기 대비 공업(3.5%), 농림(1.9%) 순으로 증가했고, 녹지(-12.3%), 관리(-8%), 개발제한구역(-7.3%), 상업(-6.3%), 자연환경보전(-6.1%), 주거(-4.1%)는 감소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가 변동률 및 토지 거래량을 지속 확인하고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