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국내 연구실 안전사고가 700건에 육박,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윤상직 자유한국당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이후 지난달까지 국내 대학, 정부출연연구기관, 기타 연구기관, 기업부설 연구실 등에서 발생한 안전사고가 696건에 달했다.
연구실 안전사고는 매년 200건 이상 발생하는 추세이며 올해 9월까지도 166건이 발생했다. 연구기관은 2016년 기준 4307개 기관이 4400억원을 연구실 안전관리비로 지출했다. 한 기관이 1억원 가량 투자했음에 불구하고, 크고 작은 사고가 여전한 것.
최근 5년간 연구실 안전관리 위반으로 과태료 처분을 받은 사례는 94건으로 100건에 육박했다. 해당 기관 소명 의견을 검토한 뒤 그 달 중 과태료 부과가 확정될 사례만 18건에 달한다. 과태료 처분을 받은 기관은 대학이 55건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부설 연구실 32건, 기타연구기관 7건, 정부 출연연 2건 순이었다.
윤상직 의원은 "대학, 출연연, 기업을 가리지 않고 매년 크고 작은 사고들이 연구실에서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며 "국내 우수인력이 뜻밖의 사고로 피해를 보지 않도록 연구실 안전사고 근절을 위해 정부가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