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硏 "자동차보험 원가 상승, 보험료에 반영돼야"

[사진= 아이클릭아트 제공]


자동차보험 원가 높아지면서 보험료를 올려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보험연구원 전용식 연구위원과 김유미 연구원은 28일 '보험금 원가변동과 자동차보험료 조정' 보고서에서 "의료기관 진료비와 정비업체 수리비 등 자동차보험의 원가에 해당하는 비용들이 가파르게 상승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 한방진료비는 2.89%, 외래진료비는 2.50%, 자동차수리비는 1.78% 올랐다. 이는 우리나라 소비자 물가상승률 1.12%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이런 가운데 자동차보험료는 1.29% 하락했다. 이 때문에 손해율은 81.7%로 적정 수준으로 여겨지는 77∼78%를 넘어섰다.

보고서는 "보험금 원가상승이 보험료에 제한적으로 반영되면 자동차보험의 경영성과는 악화할 수 있다"며 "원가상승, 사고 건수 증가로 인한 지급보험금 증가가 나타나고 나서 보험료가 그에 상응하게 조정돼야 손해율과 보험회사의 경영성과가 안정된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이어 "원가상승 요인이 보험료에 적시에 반영되지 못할 경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안정될 수 있지만, 보험사의 재무건전성 악화와 소비자와의 갈등 확대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다만 "보험료 인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배상·보상제도 개선으로 보험금 누수를 억제해야 한다"며 "이탈리아와 스페인은 보험사기로 의심되는 경상 환자에 대한 보험금 지급기준을 강화해 보험료가 하락하고 경영성과가 개선됐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