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박정의원]
중기부와 산업부는 2016년 기준 사업화 지원 과제의 성공률을 각각 50%, 48%로 발표했으나, 실제 획기적 기술이 개발됐다는 소식은 듣기 어렵다는 것이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박정 의원(더불어민주당, 파주을)은 26일, 중소벤처기업부 대상 종합국정감사에서 현재 사업화 목적 국가 R&D 사업의 성과평가 지표가 1차 기술개발 성공여부를 확인하고, 2차 매출발생여부 등을 지표로 삼고 있는데, 2차의 경우 매출이 단 1원이 발생해도 성공으로 볼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박정 의원은 “중기부 R&D 지원사업의 98%, 산자부는 71%가 사업화를 목적으로 지원하면서 성공률을 각각 50%, 48%로 보고하고 있지만, 세계적 기술이나 획기적 기술로 매출이 급증했다는 이야기는 듣기 쉽지 않다”며, 그 원인 중 하나로 “기초 연구 중심인 과기부가 국가 R&D를 주도하면서 성과지표 역시 기술개발 측면에 치우쳤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또 설사 매출이 많이 올랐다해도 기술개발 외 기업의 마케팅, 영업망 등 다른 요인이 영향이 없었다고 보기 힘들다는 점에서 현행 성과지표가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이 가능하다.
한편 현재 R&D사업 선정 및 평가 위원이 학자와 연구소 연구원이 절반에 가깝고, 산업계 역시 연구소 연구원 중심으로 구성되다보니, 기술개발 전문성을 있으나 사업화 전문성을 확보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박정 의원은 “사업화 R&D 지원의 경우, 기초연구 지원과 다른 성과 지표가 필요하다”며, “새로운 지표 개발을 위해 기술전문가 외 전문투자자, 창업성공자, 실패자 등 다양한 인력이 모여 논의를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