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상생형 일자리 창출 모델'로 주목받은 '광주형 일자리'에 현대차 완성차 공장 투자유치 가능성이 다시 대두한다.
29일 광주시에 따르면 전날 오후 1시 노동계, 전문가가 참여한 2차 '현대차 투자유치 성공을 위한 원탁회의'가 열렸다. 이번 회의에서 노동계와 시는 현대차에 제시할 투자협약서에 잠정 합의했다.
이병훈 문화경제부시장은 30일 현대차를 직접 방문해 수정된 투자협약서에 관해 설명하고 현대차의 동의를 얻은 뒤 31일 합의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방침이다.
그러나 광주시와 현대차의 협상 과정에 지역 노동계가 배제됐다는 문제가 제기돼 논란을 겪다가 최근 광주시가 노동계를 포함해 투자협상 체계를 꾸리기로 하면서 사업이 다시 탄력을 받고 있다.
하지만 현대차 노조가 광주형 일자리 재추진을 반대하고 나서 현대차와의 투자 협약을 끌어낼 수 있을지 의문인 상황이다. 현대차 노조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자동차 판매 감소 추세, 통상 마찰, 한국 자동차산업 위기 속에 광주형 일자리 추진은 국내 자동차산업 파국을 불러오며 풍선효과로 다른 지역 일자리 1만2000개가 사라질 것이다"며 광주형 일자리 재추진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현대차가 지난 3분기 사상최악의 실적을 기록했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업계 관계자는 “실적난에 어려움을 겪고있는 현대차가 노동계의 요구에 따라 임금 수정 등이 이뤄진 투자확약서를 수용할 지도 미지수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