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서울 주택거래 '9·13 대책' 전 급증… 9~10월 매달 1만건 거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강승훈 기자
입력 2018-10-31 14:5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전문가 "계약과 신고 차이로 하향 추세 곧 나타날 듯"

[사진=아주경제 DB]

한동안 천정부지로 치솟던 서울시내의 주택거래가 역대 가장 강력한 부동산 대책이라고 평가되는 '9·13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전에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이 시기를 기점으로 매수·매도의 관망세를 보인 만큼 '거래 절벽'이 곧 현실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31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10월 한달간 거래 건수(신고일 기준)는 총 9939건으로 집계됐다. 전달의 1만2359건에 이어 2개월 연속으로 약 1만건을 기록했다.

이 기간 노원구가 1368건으로 가장 많았다. 자치구 중 유일하게 1000건을 돌파했다. 도봉구(530건)와 강서구(582건)도 상위권에 올랐다. 이른바 '강남4구'에서는 송파구 785건, 강동구 570건, 강남구 567건, 서초구 443건 등 전반적으로 활발했다. 이외 양천구 484건, 구로구 480건, 성동구 411건 순으로 파악됐다.

반면 거래가 가장 뜸한 지역은 종로구(86건)였다. 또한 중구(126건), 용산구(188건), 금천구(209건), 강북구(211건), 광진구(229건) 등은 상대적으로 거래 건수가 적었다.

일반적으로 계약일로부터 1~2개월 사이 신고가 이뤄지기 때문에 10월의 거래 현황엔 '9·13 대책' 영향이 직접적으로 미치지 않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즉 지난 9월 정부가 내놓은 공급물량 증가에 더한 대출·세제 규제 강화의 효력은 11월 이후 수치로 반영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정부가 작년 '8·2 대책' 발표 뒤 시장은 요동치고 매수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섰다. 그렇지만 주택거래 건수는 8월 1만4677건, 9월 8230건, 10월 3777건 등으로 가파른 하향세가 2개월이 흐르고 드러났다. 그해 9~10월 전 자치구에서 거래 건수가 반토막이 났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평균적으로 계약 뒤 30일이 지나 실거래 신고를 한다. 다시 말해 10월의 거래량은 실제 8~9월 계약이 이뤄진 것"이라며 "9·13 대책의 기저효과는 연말께 본격 확인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