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복지 新견문록 ①치매 케어] ‘직접 장보고 맥주 한잔’…일상 누리는 치매노인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베이스프(네델란드)=석유선 기자
입력 2018-11-05 03:0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네덜란드 호흐벡 마을, 슈퍼마켓·펍·미용실·극장까지 갖춰

  • 주거동 나서면 손쉽게 동네 마실, 2배 넘는 직원들 거동·요리 도와

  • 한달 최소 64만원이면 입주 가능…美·中·호주도 앞다퉈 벤치마킹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사회보장제도 연수과정을 통해 복지 선진국인 스웨덴과 독일, 네덜란드를 둘러보고 왔다. 유럽 또한 한국사회가 고민 중인 저출산·고령화, 연금고갈 문제가 복지 논쟁에서 최대 화두였다. 하지만 그들은 훨씬 오래 전부터 차분히 준비, ‘복지의 단비’를 맞고 있었다. 앞으로 3회에 걸쳐 유럽 복지의 현재와 시사점을 살펴본다. <편집자 주>
 

네덜란드 호흐벡 마을에서 치매 여성노인이 직접 마트에서 장을 보고 있다. [사진=호흐벡마을 제공 ]


아들 셋이 모두 서울대에 합격했다. 조카 손녀의 생일까지 살뜰히 챙기던 비상한 머리의 소유자였다. 팔순을 앞둔 그녀는 이젠 방 두 칸짜리 아파트와 단지 내 경로당만 오갈 뿐이다. 더 멀리 나갔다간 경찰관의 손에 이끌려오기 십상이다. 매일 방문하는 요양보호사의 도움 없이는 식사와 빨래를 홀로 해결하기 힘들다. 치매(인지행동 장애)를 6년째 앓고 있는 나의 작은할머니 이야기다.

지난달 24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북쪽 외곽의 한적한 도시 베이스프(Weesp)에 위치한 세계적으로 유명한 ‘치매 안심마을’, 호흐벡(Hogeweyk)을 찾았다. 마을 입구 문이 열리자, 삼삼오오 산책을 하며 가족들과 담소 중인 밝은 표정의 치매노인들이 한눈에 들어왔다. 작은할머니의 모습이 자연스럽게 오버랩 됐다. 홀로 방에서 하루를 ‘견디는’ 그녀와 호흐벡 마을에서 하루를 ‘즐기는’ 네덜란드인들의 모습은 너무나 대조적이다.

붉은 벽돌 건물 여러 동이 맞물려, 마치 드라마 세트장 같은 호흐벡 마을은 이곳 치매노인들에겐 그저 평범한 ‘우리 동네’다. 입구 왼편 건물에는 슈퍼마켓, 레스토랑, 카페, 펍, 문화센터가 있고 오른쪽 분수대 광장을 지나면 영화감상과 음악회를 위한 극장도 만날 수 있다. 중앙로를 따라가면 미용실, 목공소, 음악감상실도 있다. 치매노인들이 자신의 집(주거동)만 나서면 손쉽게 ‘동네 마실’을 할 수 있는 구조다.

호흐벡은 2009년 1만2000㎡(약 3600평) 규모로 ‘생활양식(Life style) 공동체’를 지향하며 설립된 너싱홈(가정형 요양시설)이다. 현재 169명의 중증 치매환자가 23가구(1~2층 규모 주거동)에 6~7명씩 모여 산다. 거실과 주방은 공동, 침실은 따로 쓴다. 한 가구당 1~2명의 직원이 상주하며 노인들의 거동과 요리 등을 돕는다. 치매노인들의 가족들은 언제든 방문가능하다.
 

호흐벡마을에서 치매노인들은 좋아하는 차나 술을 언제든 편하게 마실 수 있다. [사진=호흐벡마을 제공]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사회복지사 등 임직원은 170명, 자원봉사자는 140명 정도다. 배가 넘는 인력이 치매 노인들을 돌보는 셈인데, 이들은 노인들을 ‘환자’가 아닌 ‘거주자’로 부른다. 특히 직원들은 하얀 가운 대신 항상 평상복을 입는다. 노인들도 마찬가지다. “누구도 자기 집에서 가운이나 환자복을 입지 않기 때문”이다.

호흐벡도 과거엔 평범한 요양원이었다. 당시 간호사였던 호흐벡 창립자, 이본 반 아메롱헨(Yvonne van Amerongen)은 “중증 치매노인은 안 그래도 뇌가 혼란스러운데 주변 환경이 바뀌면 더 큰 혼란을 겪을 수 있다. 그들도 자유롭게 일상을 영위할 수 있는 공동체 마을을 만들자고 제안했다”고 말했다.

그렇게 완성된 생활양식 공동체 가구는 △도시적 △장인·수공예적 △전통 네덜란드 가정적 △인도네시아풍 △중상류형 클래식 △예술문화적 △기독교적 등 7개의 생활양식에 맞춰 꾸며졌다. 생활양식별로 식사, 취침시간이 각자 다르다. 과거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던 인도네시아풍 양식 가구의 마당에는 불상이 여럿 보였다.
 

호흐벡마을 치매 노인들은 자원봉사자들의 도움으로 직접 요리를 준비한다. [사진=호흐벡마을 제공]


클래식 생활양식을 선택, 3년반째 거주 중인 남편(75)을 만나러 온 리사(가명·62)는 “전에는 남편이 밤낮없이 집을 나가 실종돼 경찰에 발견되기 일쑤였다”면서 “그는 평소 부르크너, 말러, 푸치니 음악을 좋아했는데 이곳에선 항상 클래식 음악이 흘러나온다”고 말했다. 그는 “예전처럼 일상의 삶을 유지할 수 있게 돼 최고의 대처를 한 것 같다”고 만족해했다.

호흐벡에 거주하려면, 소득에 따라 월 최소 500유로(약 64만원), 최대 2500유로(약 320만원)를 정부에 내야 한다. 정부가 지급하는 노령 기초연금이 매달 850유로 정도라, 저소득층도 충분히 입소할 수 있다. 호흐벡은 정부에서 운영비를 받으니, 입소자들은 눈치를 볼 필요도 없다.

현재 전세계 국가들은 앞다퉈 호흐벡 마을을 벤치마킹하고 있다. 미국, 호주에 이어 중국도 최근 설립을 고려중이다. 아메롱헨은 각 나라의 생활특성에 맞게 만들되,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치매 환자를 돌보는 사람들이 이전과 다른 방식의 사고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치매환자도 일상생활을 영위할 권리가 있다”는 강한 당부였다. 
 

호흐벡 창립자, 이본 반 아메롱헨(Yvonne van Amerongen)은 “치매노인들도 자유롭게 일상을 영위할 수 있는 공동체 마을을 만들자고 제안했다”고 말했다.[사진=석유선 기자 ] 


《취재 지원 : 한국언론진흥재단》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