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이 발표하는 세계 행복지수에서 한국 순위가 추락하고 있다. 155개국 중 2015년 47위에서 작년 55위까지 떨어진 것이다.
글로벌 헬스케어기업 '시그나 그룹'이 2014년부터 발표하고 있는 행복지수 측정 결과에서도 우리나라는 24개국 중 꼴찌를 기록했다.
그렇다면 우리 국민은 행복하지 않은 나라에 살고 있는 것인가? 행복해질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세계적인 도시계획 전문가와 건축가들은 개인의 행복을 위해서 '도시'에 주목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도시의 형태와 시스템을 바꿔나가는 것만으로도 시민들의 행복지수가 높아질 것이라는 의미다.
오스트리아의 건축가 크리스토퍼 알렉산더(Christopher Alexander) 역시 그의 저서 '영원의 건축'을 통해 도시가 시민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이는 여러 도시의 사례에서도 이미 입증되고 있다. '생지옥'이라 불릴 정도로 세계 최악의 거주환경이었던 콜롬비아의 수도 보고타가 엔리케 페날로사(Enlique Penalosal) 시장의 임기 3년 만에 긍정과 행복의 도시로 변했다. "미국인보다 행복한 도시를 만들겠다"는 그의 공약이 현실이 된 것이다.
페날로사의 '행복한 도시 운동'은 전 세계로 전파돼 미국 뉴욕 맨해튼을 비롯한 많은 도시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여성 친화도시를 만들기 위한 사업들도 행복한 도시 운동의 큰 축을 이루고 있다. 캐나다 토론토와 몬트리올의 '밤길 되찾기 캠페인', 영국 6개 도시에서 진행된 '안전한 공간 만들기 프로젝트', 중남미 7개국에서 진행된 '여성에 대한 폭력 없는 도시' 사업 등 일일이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다.
우리나라 역시 변화의 흐름을 함께하고 있다. 역사상 처음으로 국가가 직접 조직과 예산을 투입해 건설하고 있는 행정중심복합도시가 대표적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는 도시설계 단계부터 여성 친화적인 공간으로 조성되고 범죄예방 건축설계기법을 도시 전체에 적용하고 있다.
'여성들이 살기 좋은 도시' 만들기의 일환으로 조성되는 '여성친화가로'에는 유모차나 휠체어가 자유롭게 다닐 수 있도록 보도는 폭을 넓히고 경사와 높낮이 차를 최대한 줄이는 동시에 산책·휴식 등을 위해 적정 간격으로 휴게 벤치를 설치했다. 하이힐을 신은 여성의 보행 편의를 높이기 위해 보도의 이음면을 정밀 시공하고 미끄럽지 않은 재질의 보도블록을 사용했다.
아울러 '안전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감시 카메라(CCTV)를 2배로 늘려 사각지대를 없애고 조도를 높이는 한편 지하 주차장이나 여성 화장실, 가로등에 설치된 비상벨을 누르면 경고음과 함께 영상과 음성이 관제실로 전송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광장이나 건물 주변에는 하이브리드 보안등을 설치해 주민들이 밤길에 안전하게 다닐 수 있는 도시를 건설해 나가고 있다.
최근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의미하는 '소확행(小確幸)' 트렌드가 사회 전반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이들도 있지만 미래에 대한 희망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는 사회현상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내 삶을 행복하게 바꿔줄 변화를 원하는 간절함으로도 읽혀진다.
행복한 도시 운동의 핵심은 '도시의 공공 공간이 시민을 행복하게 만드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 만큼 지금은 도시의 변화에 모두의 힘과 지혜가 모여야 할 때다. 그것이 한국을 행복한 나라로 만드는 해법이며,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그 답을 찾아가길 기대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