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제주항공 제공]
제주항공이 지난 3일 누적탑승객 6000만명을 달성했다고 4일 밝혔다.
제주항공의 누적탑승객 6000만명 돌파는 2006년 6월 취항 이후 12년 6개월이 걸렸고, 지난 2월3일 5000만명 돌파이후 10개월 만이다.
여행 트렌드 변화 등 시장상황에 맞는 탄력적인 노선 포트폴리오 구성과 이에 따른 공격적인 기단 확대 등을 통해 취항이후 2018년까지 연평균 37%, 2016년 이후 최근 3년 동안 연평균 18% 수준의 높은 여객수송 성장률을 이어가고 있다.
제주항공의 누적탑승객 6000만명 가운데 국내선 탑승객은 약 3400만명으로 56.7%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국제선 탑승객은 43.3%인 2600만명으로 집계됐다.
국제선에서는 일본노선이 1100만명으로 전체여객의 18.3%를 차지했으며, 태국 필리핀 베트남 말레이시아 라오스 등의 동남아시아노선은 11.9%(713만명), 중국본토와 홍콩 마카오 대만 등의 동북아시아노선은 8.1%(486만명), 괌 사이판 4.8%(290만명), 러시아 노선은 0.2%(11만명)의 비중을 각각 차지했다.
5000만명 달성시점과 비교했을 때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일본노선 비중이 16.9%에서 18.3%로 약 1.4%P 증가한 것인데, 올해 마쓰야마와 가고시마 등 일본 지선을 신규취항하고, 무안 대구 청주 등 지방국제공항에서 일본행 노선이 크게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 2월에 한일노선은 12개였지만 지금은 5개가 늘어난 17개 노선에 취항하고 있다.
또 베트남노선 확대의 영향으로 동남아시아노선 비중도 5000만명 당시 11.1%에서 이번에는 11.9%로 늘어났고, 중국 등 동북아시아노선도 0.7%P 증가한 8.1%를 기록했다.
다만 주요 국내 공항의 수용능력이 한계에 이르면서 국내선 비중은 60%에서 57%로 3%P 감소했다. 지난해 국내선에 약 480만석을 공급했던 제주항공은 올해 연말까지 약 495만석 공급을 계획하고 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최근 3년 동안의 여객수송 성장률을 유지하면 누적탑승객 1억명 달성이 2021년에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누적탑승객 6000만명을 축하하고 감사하는 차원의 대고객 사은이벤트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