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6명 "동물교감치유 가치 높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8-12-07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해당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이하)

[노트펫]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6명은 동물교감치유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교감치유'란 사람과 동물의 교감을 통해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신체적인 문제 예방과 회복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활동을 말한다.

6일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은 지난해 온라인 설문 조사(전국 남녀 521명)와 전화 조사(서비스 경험한 25개 기관)를 통해 전국의 20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동물교감치유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전국의 20세 이상 남녀 10명 중 8명이 '동물교감치유에 대해 들어봤거나 본 적이 있다(82.5%)'고 답했다.

동물교감치유에 대한 호감도는 71.8%로 △서울·수도권 △여성 △연력이 낮을수록 △가족 중 장애 등 질병이 있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65.3%는 동물교감치유의 가치가 '높다'고 답했으며, 심리·정서적 안정감과 우울 · 스트레스 감소, 삶의 활력 등을 이유로 꼽았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59.7%)은 '앞으로 동물교감치유를 이용하고 싶다'고 했으며, 본인과 부모, 자녀 순으로 치유 활동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아울러 농진청은 동물교감치유 서비스를 경험한 복지·요양기관 14곳, 학교 7곳, 병원 4곳 등 25개 기관도 조사했다.

조사 결과 동물교감치유 서비스는 지적장애, 자폐 등 발달장애에 가장 많이 제공됐으며(88%), 신체장애(24%)와 인지장애, 조현병 등 정신질환, 저소득층, 일반인(16%) 이용이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초등학생, 중고생, 미취학 아동, 성인, 노인 순으로 나타났다.

'동물교감치유의 가치는 지금보다 미래에 높게 평가받아 확대될 것(80%)'이라는 응답이 높았던 반면, '비용이 많이 든다(36%)'는 점도 해결해야 할 문제로 꼽혔다.

이와 함께 '살아있는 동물이라는 점과 관리 등에 대한 이해와 홍보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오형규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장은 "동물교감치유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수요가 큰 만큼 앞으로 관련 연구를 확대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더보기
"반려동물이 직업적 성공에 도움"..설문조사서 78%
청소년 5명 중 2명.."반려동물 키워요!"
숨은 동물 찾아라!


김승연 기자 ksy616@inbnet.co.kr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otepet@inbnet.co.kr / 저작권자 ⓒ노트펫,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