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이미 2019년 3차례, 2020년 1차례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비친 상태다. 실업률이 5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경제에 대한 자신감이 반영됐다. 다만 세계 경제 둔화 우려에 따라 미국 경제도 하방 압력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이 확산되고 있는 만큼, 연준이 향후 금리인상에 대한 속도 조절에 나설 가능성도 점쳐진다.
일단 시장에서는 연준이 12월 18~19일(이하 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올 들어 네번째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실업률이 1969년 이후 반세기 만에 최저 수준인 3.7%를 기록하는 등 금리인상의 조건이 충분하다는 평가가 연준 안팎에서 흘러나온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현재 2.00~2.25%다. 연준이 예고한 대로 매번 0.25% 포인트씩 금리를 인상하면 내년까지 기준금리가 3.25∼3.50%까지 오른다. 이는 중립금리(인플레이션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이론적 금리) 수준을 웃도는 것이다. 중립금리는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유발하지 않고 경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의 궁극적인 금리를 말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최근 기준금리가 중립 수준 바로 아래에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문제는 현재 세계 경제가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미·중 무역전쟁 속에 중국발 경기둔화 신호가 나오면서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이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국제통화기금(IMF)을 비롯한 곳곳에서 제기됐다.
시장의 불안감도 크다. 미국 뉴욕증시 대표지수인 S&P500이 올 들어 5% 가까이 빠지는 등 최근 위험자산시장에 대한 투매 압력이 거세졌다. 올해 승승장구한 미국 경제마저 내년에 하방 압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다수 경제학자들이 '경제 타격'을 우려하면서 연준의 매파적 행보를 저지하려는 메시지를 거듭 밝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는 게 AFP통신 등 외신들의 분석이다.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목표치인 2%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에서 금리 인상이 지속적으로 이뤄지면 최근 몇 년간 3%대로 유지되던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가 동반 상승하는 등 가계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때문에 이달 FOMC에서는 금리인상 여부보다 연준이 내년 금리인상 속도(횟수)를 어떻게 시사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뉴욕타임스(NYT)는 17일 "지난 9월만 해도 대부분의 연준 관계자들이 2019년에 최소 3차례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측했지만, 세계 경제 성장세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높아진 만큼 연준의 향후 계획도 점점 불투명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연준은 2015년 통화완화 기조를 뒤집는 출구전략으로 선회한 후 지금까지 8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유럽중앙은행(ECB)과 일본중앙은행(BOJ) 등 다른 국가의 중앙은행보다 앞서 긴축 행보를 보인 만큼 이번 회의에서 통화정책 방향을 변경할 경우 세계 금융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전망이다.
와시프 라티프 USAA인베스트먼트 글로벌 주식 부문 대표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세계 경제가 서로 얽혀 있는 상황에서 미국 경제는 '나비효과'를 내기 쉽다"며 "전 세계의 연결성을 고려했을 때 다른 국가들이 지속적인 경제 둔화를 겪을 경우 미국도 영향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연준의 결정이 정말로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