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12/27/20181227111133938159.jpg)
인공지능(AI)과 바둑 대결 [사진=연합뉴스]
인공지능(AI)으로 일자리를 연결해주는 정부 서비스가 시작된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27일 '고용센터 혁신방안'을 통해 "기존 (고용정보 웹사이트) '워크넷'을 개편, 인공지능 기반 일자리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이날부터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구직자의 이력, 교육·훈련, 자격 정보 등을 AI가 분석해 최적의 일자리를 연결해주는 것이다. 구인 기업의 업종, 임금 수준, 고용유지 기간, 직무별 자격 요건 등도 AI 분석 대상이다.
AI를 이용한 일자리 매칭이 자리잡으면 고용센터의 구직자를 위한 기업 탐색 업무가 획기적으로 줄어, 센터 직원은 일자리 매칭을 토대로 심층 상담에 집중할 수 있다는 게 고용부의 설명이다.
고용부는 또 워크넷뿐 아니라 'HRD-net', 고용보험시스템 등 기존 일자리 관련 사이트의 대국민 서비스를 통합해 '일자리 통합 포털'(온라인 고용센터)을 구축하기로 했다.
구직자와 기업은 일자리 통합 포털에 접속하면 △구인 △구직 △직업훈련 △고용보험 등 모든 일자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구직자에게는 맞춤형 이력서·자기소개서 작성도 지원한다.
내년 1월부터는 고용센터에서 24시간 상담이 가능한 '챗봇(Chatbot)' 서비스도 제공한다. 구직자가 채팅하듯 온라인 메신저에 일자리 관련 질문을 입력하면 AI가 답변하는 방식이다.
고용부는 고용보험기금 부정수급을 적발하는 데도 빅데이터를 활용할 계획이다. 빅데이터로 부정수급 의심 사업장을 색출하고, 자동경보시스템의 정보 분석도 강화된다.
고용센터는 올해 출범 20주년을 맞는다. 외환위기 국면인 1998년 고용 민원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센터를 설치했고, 현재 전국 100곳에서 운영 중이다.
고용부는 고용센터가 실업급여 지급 등 업무에 치중해 취업 지원이라는 본연의 기능은 약해졌다고 보고 이를 다시 활성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고용센터가 운영하는 대표적인 취업 지원 프로그램인 '취업성공 패키지' 서비스도 강화된다. 취업성공 패키지는 저소득 취약계층과 청년 등을 위한 맞춤형 취업 지원 사업이다.
아울러 취업성공 패키지에 중위소득 30∼60%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최장 3개월간 월 30만원씩 지원하는 '구직촉진수당'을 신설하고, 지역별·대상별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도 개발·보급하기로 했다.
고용서비스의 한 축을 담당하는 민간 위탁기관의 서비스 상향 평준화도 유도한다. 이를 위해 고용 서비스 품질 인증제를 도입하고,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기관에만 일자리 사업 참여를 허용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