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선은 주로 팔꿈치나 무릎, 두피, 엉덩이, 얼굴, 손 등의 부위에 하얀 각질과 붉은 피부(흉반)가 같이 나타나는 증상으로, 면역질환 이상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눈에 잘 띄는 곳에 증상이 들어나 다른 사람들의 시선에 대한 고통까지 견뎌야 하는 건선은 평생치료가 필요한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질병이다.
하지만 건선 환자들은 일시적으로 호전된 경우 치료를 멈추는 경우가 많았다. 건선을 단지 가벼운 ‘피부병’의 하나로 생각하는 인식에 그 원인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 건선증을 가진 환자는 암 위험성에 대한 주기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8년의 기간을 살펴본 이 연구는 암과 건선의 연관성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최초의 대규모 연구로, 소득수준,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혈증, 거주지 등을 보정 후 건선이 없는 사람들에 비해 건선환자가 1.065배 암 발생 위험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건선은 만성 염증 질환으로 암 발생과 연관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나 한국인 건선 환자를 대상으로 전체 암의 위험도 및 각 장기의 암의 유병률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특히 전립선, 갑상선, 간, 난소, 폐, 백혈병, 피부, 다발성 골수종, 림프종, 고환의 순서로 건선 환자가 정상인에 비해 암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따라서 건선환자는 주기적인 치료와 함께 암에 대한 검진도 필요하다.
피부과 이영복 교수는 “건선 질환 환자들은 적절한 치료를 통해 건선의 염증을 조절하여 향후 증가될 수도 있는 암 발병률도 예방할 수 있도록 꾸준한 치료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연구와 진료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연구논문 발표의 소감을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