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1/02/20190102100219273209.jpg)
[사진=아주경제DB]
이 종합계획은 3년마다 수립하는 법정계획이다. 해수부는 실무 논의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종합계획(안)을 마련하고,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종합계획에서는 ‘해양수산정보의 가치 창출 데이터 허브 실현‘이라는 비전 아래 ▲가치 창출을 위한 해양수산정보 제공기반 조성 ▲이용자 편익을 위한 해양수산정보 접근성 강화 ▲참여 및 협업 중심의 지능행정 구현 ▲안정적 서비스 제공 및 운영․관리를 위한 기반 강화 등 4대 전략과 8대 추진과제를 담았다.
우선 해양수산정보 변경사항이 자동으로 갱신될 수 있도록 수집‧관리체계를 개선하고, 품질관리와 표준을 강화해 해양수산정보 최신성‧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틀을 다질 예정이다.
이용자가 해양수산정보를 쉽게 이해하고 검색하도록 ’해양수산 정보지도(데이터맵)’을 구축하고, 원형(原形) 해양수산정보 개방을 확대한다. 전문지식이 없어도 해양수산정보에 쉽게 접근해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자 편의를 우선으로 하는 시각화‧통계화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해양수산정보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정책 수립부터 시스템 기획‧운영까지 업무 전 과정에 적용되는 성과관리지표 및 측정방법을 개발해 성과 중심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지속적‧안정적인 정보서비스 제공과 정보 보호 강화를 위한 인프라를 확충한다.
해수부는 이번 종합계획 수립‧시행으로 민간분야에서는 새로운 사업모델 발굴을 촉진하고, 행정기관에서는 해양수산정보 분석을 통해 과학적‧합리적인 해양수산 행정을 구현해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송명달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책관은 “제1차 해양수산정보 공동이용 종합계획은 올해부터 2021년까지 3년간 121억원을 투입해 시행해 나갈 계획”이라며 “관계기관 등과 긴밀히 협력해 관련 과제들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