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1/02/20190102111206639550.jpg)
[사진=KB국민은행 제공]
"2019년 우리가 중점 추진해야 할 첫 번째 과제는 고객 중심 사고에 바탕을 둔 영업 인프라 강화다."
허인 KB국민은행장은 2일 오전 여의도본점 4층 강당에서 열린 ‘2019년 시무식’에서 이같이 밝히고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대면채널 혁신 프로젝트’에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그는 “지역본부(PG)를 크고 작은 다양한 형태의 영업망으로 재구축해 고객의 필요에 따라 전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지역 거점 방식의 ‘KB금융타운’을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허 행장은 고객관리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그는 “새해에는 가장 많은 고객을 보유했다고 자랑하기 보다, 그 동안 고객 관리에 ‘사각지대’는 없었는지 되돌아 봐야 한다”면서 “고객들이 ‘KB가 나를 알아준다는 느낌’을 더 많이 체감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자”고 말했다.
이를 위해 허 행장은 ‘고객관리 프로세스’ 개선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스마트고객상담센터 ‘스타링크 서비스’의 비대면 고객관리 서비스 확대 등을 제시했다.
이어 허 행장은 유니버설 뱅커 육성도 언급했다. 그는 “디지털 세상이 될수록 은행원의 역할은 언제 어디서나 고객이 있는 곳에서 상담을 해줄 수 있는 전천후 금융 컨설턴트로 진화할 것”이라며 “가장 먼저 고객의 선택을 받지 못한다면, 직원과 은행에는 미래가 없다. 그만큼 유니버설 뱅커의 육성은 선택의 여지가 없는 절대적인 과제”라고 역설했다.
아울러 디지털 시대를 맞아 전사적으로 디지털 혁신을 추진G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 행장은 “고객과 직원의 행복을 위한 디지털이기에 디지털화 대상 업무와 그 범위에 본부와 현장, 일선과 후선의 구분이 있을 수 없다”면서 “앞으로 은행 곳곳에서 업무를 자동화하고 효율화하기 위한 크고 작은 프로젝트들이 계속 될 것이다. 디지털화 노력에 고객 중심, 직원 중심 철학을 온전하게 담아내야 한다”고 말했다.
일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변화를 주문했다. 그는 마지막 과제로 ‘KB다움’의 확산과 정착’을 제시했다.
허 행장은 “디지털 시대를 선도할 KB국민은행 고유의 일하는 방식인 ‘KB다움’을 직원들의 공모와 참여를 통해 도출했다”면서 “물 한 방울, 한 방울이 모여 바다로 흘러가듯이 작은 실천들이 쌓여서 진정한 의식과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새해에는 ‘나의 행동이 KB다움에 맞는가?’를 자문하면서, 알기만 하는 것을 넘어 반드시 실천하도록 하자”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