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1/07/20190107142820438897.png)
누군가 유력 후보가 있다면 수면 위로 모습을 드러낼 때도 됐다. 그런데 잠잠하기만 하다. 차기 저축은행중앙회장 얘기다.
저축은행중앙회는 회장후보추천위원회(이하 회추위)를 통해 이달 10일 후보 추천 의뢰 접수를 마감하고 오는 21일 오전 11시 차기 회장을 선출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번에는 이렇다 할 하마평이 없다. 저축은행 회원사들도 관심이 없는 분위기다. 이번만 그런 게 아니라 차기 회장을 뽑을 때마다 그랬다는 전언이다. 사실상 '누가 와도 상관 없다'고 말한다. 기자들만 누가 유력 후보인지 알아내기 위해 취재에 열을 올리고 있을 뿐이다.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전국에 흩어져 있는 79개 저축은행의 의견을 모아 금융당국에 전달하고 당국과 소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회원사들은 저축은행중앙회 운영비를 각출한다.
그럼에도 저축은행들이 차기 회장에 무관심한 이유는 학습효과 때문이다. 사실상 이미 회장이 누가 될지 정해진 상태에서 형식상 투표를 해왔던 것이다.
중앙회장은 금융감독원 등 관료 출신이 퇴직 후 내려오는 경우가 많았다. 중앙회장으로 뽑히려면 회원사가 과반 이상 참석한 총회에서 3분의 2 이상 찬성표를 받야 한다. 회원사들은 반대표를 던질 수 있다. 하지만 윗선에서 내려온 낙하산을 대놓고 반대하기란 쉽지 않다.
업권에서는 저축은행 출신 회장은 이번에도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다. 고금리 대출이라는 프레임에 갇혀 당국으로부터 금리인하 압박을 받아온 상황에서 당국에 맞서 저축은행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을 정도로 힘 있는 인사를 찾기가 쉽지 않아서다. 한 마디로 '총대'를 멜 인재가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번에도 관 출신의 낙하산이 유력한 상황이다. 하지만 윗선(?)에서 마땅한 인물을 내려주지 않아 저축은행중앙회장 회추위가 늦게 꾸려졌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다른 금융협회와 마찬가지로 저축은행중앙회장 자리는 연봉이 성과급을 포함해 5억원에 달한다"며 "협회장은 회원사들이 낸 회비로 100% 운영되는 만큼 낙하산 인사 뿌리기는 지양하고 자율 투표 분위기를 금융당국이 조성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