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1/09/20190109090630265233.jpg)
아파트 품질검수 모습 [사진=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아파트 부실시공 예방을 위해 현재 3단계로 시행 중인 품질검수를 4단계로 확대한다.
도는 올해부터 아파트 공사초기 공정률 25%내외, 골조 5층 시공 전·후 에서 시행하는 ‘골조공사 중’ 단계를 신설해 도가 직접 검수하고, 도에서 실시한 사후점검은 시·군에서 직접 확인 후 조치하도록 검수방식을 개편한다고 9일 밝혔다.
현재 아파트 품질검수는 △공정률 50~65%에서 시·군에서 진행하는 ‘골조완료 후’ 단계 △입주자 사전방문 후 공정률 95~99%에서 도에서 진행하는 ‘사용검사 전’ 단계 △준공 후 3개월 내에 도에서 품질검수 지적사항 이행여부 등을 확인하는 ‘사후점검’ 단계 등 3단계로 진행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그동안 공사초기 골조부터 하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입주민의 건의가 많았다”면서 “골조단계부터 설계도서대로 공사가 진행되는지 확인과정을 거치면, 아파트 품질이 상당부분 향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1/09/20190109090835293659.jpg)
[사진=경기도 제공]
경기도 공동주택 품질검수는 30세대 이상 공동주택, 50세대 이상의 도시형생활주택 등을 대상으로 단지 내 공용부분과 세대 내 공사 상태를 건설 전문가의 눈으로 점검·자문하는 제도다. 부실시공이나 하자 최소화를 위해 2007년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시작했다.
품질검수단에는 아파트 건설의 전문지식과 현장경험을 갖춘 기술사, 건축사 등 분야별 민간 전문가 100명이 참여하고 있다.
도는 그동안 도내 공동주택 1585개 단지, 93만여 세대를 검수해 총 6만7천여 건의 품질결함 및 하자 등 지적사항을 발굴했으며, 지적사항 중 평균 94%를 시정·조치했다. 지난해는 258개 단지를 대상으로 품질검수를 진행했다.
도는 올해 신설된 ‘골조공사 중’ 단계 품질검수 86개단지와, 기존 ‘사용검사 전’ 단계 119단지를 포함해 총 205단지를 대상으로 아파트 품질검수를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경기도가 입주예정자, 시공자, 감리자 등 총 6261명을 대상으로 품질검수단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86%인 5420명이 품질검수 활동에 만족한다고 답해 높은 정책 신뢰도를 보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