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력세율이란 정부나 지자체가 법률로 정한 기본세율을 탄력적으로 인상 또는 이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합니다.
현행법상 탄력세율은 30% 이내에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본세율이 10%인 세금이 있다면, 탄력세율로 7%에서 13%까지 조정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탄력세율은 경제여건 대응과 지자체에 과세자주권 부여를 위해 적용합니다.
세금을 조절해 일시적인 경기조절이나 가격안정을 꽤하는 것이죠.
대표적으로 최근 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영세상공인이나 중소기업, 서민들의 기름값 부담이 늘자 정부는 유류세를 인하했는데요. 이 때 정부는 탄력세율을 낮춰 유류세 부담을 줄여줬습니다.
소비심리 회복을 위해 자동차에 대한 개별소비세를 인하한 것도 탄력세율을 적용한 사례입니다.
탄력세율의 또 다른 기능은 지자체의 과세자주권 부여인데요. 지방세인 재산세 등은 현재 탄력세율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지자체가 탄력세율을 적용해 지방재정을 확충할 수 있도록 해준 것이죠.
탄력세율은 단기간에 세부담을 낮춰 경제 활력을 높여준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그 기간이 끝나면 일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에 대한 개별소비세를 인하한 기간에는 자동차 판매량이 늘지만, 인하 효과가 사라지면 급격한 소비절벽이 오기도 합니다. 또 세율을 인하하다보니 정부에서 걷는 세수가 감소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