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1/16/20190116175012406023.jpg)
[사진=서울시교육청 제공]
서울 소재 중·고등학교들이 새학기 편안한 교복 도입 여부를 결정한다.
서울시교육청은 16일 '편안한 교복 공론화 추진단'의 권고를 받아들여 모든 중·고교에 1학기 중 학교별로 교복 공론화를 추진해달라고 요청했다.
학교별 공론화에서는 교복 디자인을 비롯해 자율화 방안도 논의될 예정이다.
교복은 학칙으로 정하는 만큼 우선 학칙 제·개정위원회를 구성해 제·개정안을 발의한 뒤 숙의 기간을 거쳐 토론회·설문조사 등으로 시안을 마련한다.
시안이 학교운영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학교장이 새 학칙을 공포·시행하면 편안한 교복 공론화가 마무리된다.
교육청은 학칙 제·개정 시안 마련 시 학생 의견 반영비율을 50% 이상으로 하라고 권고했다.
예정대로 공론화가 진행되면 내년 입학하는 학생부터 편안한 교복을 입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재학생은 기존 교복과 새 교복을 선택할 수 있다.
다만 모든 학교가 교복 공론화를 진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학칙 제·개정은 학교장 권한으로 강요할 수 없다는 것이 교육청 입장이다.
이와 관련해 편안한 교복은 찬성하지만 자율화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여론이 우세한 모습이다.
네티즌들은 "집안 사정이 넉넉하지 못하면 사복 때문에 아이들이 위축될 수 있다", "편안한 교복은 찬성하지만 완전 자율화는 반대", "후드티에 체육복 바지 같은 교복 만들자" 등의 의견을 보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